태극기

연구분야 : A020200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클래스 : 제품/브랜드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2419

한자 : 太極旗

y07-02 제품/브랜드명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isConceptOf (개념(전체))

 

d01-04 개념(정의) 개념(정의)

음양 [ 陰陽 ]

한설야의 문제작 「개선」과 김일성의 형상화에 대한 연구

A study on Han Sulya’s problematic work A Triumphal Return and formalization of Kim Ilsung

비평문학 | 44 | 2012 | 한국어와문학

대한제국기의 국가 상징 제정과 경운궁

Gyeongungung Palace and National Symbols of the Daehan Empire

서울학연구 | 40 | 2010 | 기타인문학

대한제국기의 국가 상징 제정과 경운궁

Gyeongungung Palace and National Symbols of the Daehan Empire

서울학연구 | | 40 | 2010 | 기타인문학

문화콘텐츠로 본 진관사 태극기 기념사업

A Study on the Commemorative Project of Jinkwansa Taegeukgi from the Perspective of Cultural Content

정토학연구(淨土學硏究) | 17 | 2012 | 정토학

디아스포라의 정체성과 태극기: 20세기 전반기의 미주 한인을 중심으로

Identity of Diaspora People and National Flag as Visual Culture : Korean Americans in the Early Twenty Century

사회와역사(구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 | 86 | 2010 | 사회학

디아스포라의 정체성과 태극기: 20세기 전반기의 미주 한인을 중심으로

Identity of Diaspora People and National Flag as Visual Culture : Korean Americans in the Early Twenty Century

사회와역사(구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 | | 86 | 2010 | 사회학

진관사 태극기의 형태와 그 역사적 의의

The shape of Taegukgi (the national flag of Korea) discovered in Jinkwansa temple and its historical meaning

한국독립운동사연구 | 36 | 2010 | 역사학

박영효 태극기의 유래와 그 발견의 의미

The Origin of Young Hyo Park's Taegeukgi and Meaning of Finding of it

동양고전연구 | 43 | 2011 | 기타인문학

太極旗和周易

Taegeukgi(太極旗) and I Ching(周易)

민족사상 | 5 | 4 | 2011 | 한국정치사상

태극기 중국 유래설에 대한 반박

A refutation of the opinions that the Korean national flag is originated from China

동양문화연구 | 8 | 2011 | 기타인문학

한국 ‘태극기’와 송대 유학자 소옹의 선천역학의 비교연구

韩国的太极旗与宋代儒学者邵雍之先天易学的比较硏究

규장각 | 40 | 2012 | 기타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