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착화

연구분야 : B010000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클래스 : 변천/과정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2496

한자 : 土着化
영어 : naturalization
영어 : indigenization
영어 : Inculturation

b02-04 변천/과정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N1:종류

hasKind (종류)

 

b02-04 변천/과정 변천/과정
b02-04 변천/과정 / c03-03 문화/생활 문화/생활

한국화 [ 韓國化 ]

hasKind (종류)

 

c03-03 문화/생활 문화/생활

행정학의 토착화 () [ 行政學--土着化 ]

R1:개념적

RT (관련어)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기독교 선교학 () [ 基督敎宣敎學 ]

제주도 옹기가마의 구조와 그 연원

The Structure and Origin of Jeju's Pottery Kilns

탐라문화 | 37 | 2010 | 기타인문학

제주도 옹기가마의 구조와 그 연원

The Structure and Origin of Jeju's Pottery Kilns

탐라문화 | | 37 | 2010 | 기타인문학

간화선의 서양 전달과 그 수용 —입실제도(入室制度)를 중심으로—

The Transmission & Reception of Hwadu Investigation Meditation (看話禪) in the West: —a Research Centered on the Master-Disciple Encounter System (入室制度)—

禪學(선학) | 26 | 2010 | 응용불교학

간화선의 서양 전달과 그 수용 —입실제도(入室制度)를 중심으로—

The Transmission & Reception of Hwadu Investigation Meditation (看話禪) in the West: —a Research Centered on the Master-Disciple Encounter System (入室制度)—

禪學(선학) | | 26 | 2010 | 응용불교학

Jesuits and the Propaganda Missionaries: Two Different Ways of Accommodation

예수회와 포교성성의 선교사들: 적응주의 선교의 두 다른 길

신학과철학 | 19 | 2011 | 기타가톨릭신학

1930년대 한국대중가요의 장르 혼용 양상 - 재즈송을 중심으로

Mixing of Genres in Korean Popular Music during the 1930s: With a focus on “jazzsong”

音.樂.學 | 18 | 2 | 2010 | 기타음악학

1930년대 한국대중가요의 장르 혼용 양상 - 재즈송을 중심으로

Mixing of Genres in Korean Popular Music during the 1930s: With a focus on “jazzsong”

音.樂.學 | 18 | 2 | 2010 | 기타음악학

엥겔(G. Engel)의 선교사역과 신학사상

Mission Works and Theological Thoughts of G. Engel, a Pioneer Missionary of the Australian Presbyterian Church in Korea

한국기독교와 역사 | 32 | 2010 | 교회사

엥겔(G. Engel)의 선교사역과 신학사상

Mission Works and Theological Thoughts of G. Engel, a Pioneer Missionary of the Australian Presbyterian Church in Korea

한국기독교와 역사 | | 32 | 2010 | 교회사

던칸 M. 맥레의 초기 선교사역과 그 신학적 특징에 관한 연구

A Study of Duncan M. MacRae’s Early Missionary Work and His Theological Character

한국교회사학회지 | 31 | 2012 | 기독교신학

글로칼리즘을 향한 가톨릭 종교 교과서 개발

A Study on Development of Catholic Textbooks in Concordance with Glocalism

종교교육학연구 | 37 | 2011 | 종교학

‘선한목자’ 도상의 변천과 토착화

The Development and Contextualization of the Good Shepherd Icon

신학논단 | 68 | 2012 | 기타기독교신학

안중근과 천주교의 관계에 대한 비판적 검토- 독립운동기를 중심으로

Critical examination on the relations between Ahn, Joong-geun and the Roman Catholic church -Focusing on his activities for Independence movement-

한국독립운동사연구 | 38 | 2011 | 역사학

Missio Dei and Korean Church

하나님의 선교와 한국교회

선교신학 | 29 | 29 | 2012 | 기독교신학

미국 원주민의 영성신학 연구

The Study of American Native Theology of Spirituality: 'The Festival of Sun Dance'

신학사상 | 153 | 2011 | 기독교신학

사도행전에 나타난 선교학적 주제들의 고찰

A Study of the Missiological Themes Revealed in the Acts of the Apostles

선교신학 | 23 | 23 | 2010 | 기독교신학

한국 근대 기독교미술에 나타난 ‘土着化’의 含意-箕山 金俊根 筆 '텬로력뎡' 揷圖를 중심으로-

Implications of Naturalization in Korean Modern Christian Art Focused on the first Korean version of The Pilgrim's Progress'

동양예술 | 18 | 2012 | 기타미술

한국교회 분쟁의 형태 변화에 관한 선교적 고찰

The study of missional perspective about forming change of Korean Church of debating

선교신학 | 23 | 23 | 2010 | 기독교신학

한국교회 분쟁의 형태 변화에 관한 선교적 고찰

The study of missional perspective about forming change of Korean Church of debating

선교신학 | 23 | 23 | 2010 | 기독교신학

‘제1세대 성서’를 통해 이루어진 복음의 토착화 -한글 성서 최초 완역 100주년의 역사신학적 의미-

Indigenization of the Gospel by ‘the first generation Korean Bible’: Historico-theological meaning of the centennial year of the first translation of the whole Bible in Korea

Canon&Culture(캐논앤컬처) | 4 | 1 | 2010 | 서양종교

‘제1세대 성서’를 통해 이루어진 복음의 토착화 -한글 성서 최초 완역 100주년의 역사신학적 의미-

Indigenization of the Gospel by ‘the first generation Korean Bible’: Historico-theological meaning of the centennial year of the first translation of the whole Bible in Korea

Canon&Culture(캐논앤컬처) | 4 | 1 | 2010 | 서양종교

뱅상 레브 신부의 선교방식과 선교활동의 지역범위

Vincent Lebbe’s Missionary method and the regional range of his propagation

대구사학 | 107 | 2012 | 역사학

뱅상 레브 신부와 중국 천주교의 토착화

Vincent Lebbe and the Inculturation of Catholic Church in China

대구사학 | 103 | 2011 | 역사학

“낯선 것에서 익숙한 것으로” -초기 성탄절 문화에 나타난 기독교의 토착화-

From Alien to Familiar: Indigenization of Christianity shown by the Early Christmas Celebrations in Korea

종교와 문화 | 18 | 2010 | 기타종교학

한국 행정(학) 정체성 위기의 큰 질문들

The Big Questions of Identity Crisis of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 21 | 4 | 2011 | 행정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