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 불화

연구분야 : A089900 인문학 > 불교학 > 기타불교학
G030203 예술체육 > 미술 > 순수미술 > 동양화/한국화

클래스 : 미술(디자인)양식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253

STNet ID : 9003180

한자 : 高麗佛畵

e01-03 미술(디자인)양식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공통속성

hasEra (시대)

 

x02-01 시대 시대

고려시대 () [ 高麗時代 ]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e01-03 미술(디자인)양식 미술(디자인)양식

불화 [ 佛畵 ]

N3:사례

hasInstance (사례)

 

 

수월관음도 () [ 水月觀音圖 ]

hasInstance (사례)

 

 

아미타 삼존 내영도

인문학적 미술사의 가능성 - 한국미술사 연구(2009~2010)의 회고와 전망 -

Toward the History of Art as a Humanistic Discipline: Retrospects and Prospects of Korean Art History

역사학보 | 211 | 2011 | 역사학

미국소재 한국불화 조사 연구

Investigation Research on the Korean Buddhist Painting in the United States

동악미술사학 | 13 | 2012 | 기타예술체육

고려불화에 표현된 복식 문양 연구

The Patterns on Costumes in The Buddhist Painting of Goryeo Dynasty

한복문화 | 13 | 2 | 2010 | 의상

고려불화에 표현된 복식 문양 연구

The Patterns on Costumes in The Buddhist Painting of Goryeo Dynasty

한복문화 | 13 | 2 | 2010 | 의상

高麗佛畵의 변죽: 本地, 畵幅, 奉安에 대한 問題

A Study of the Silk Weave, Loom Width and Enshrinement of Goryeo Buddhist Painting

美術史論壇 | 34 | 2012 | 미술

고려시대 아미타내영도와 임종의례의 관련성 시론

The Relationship between“ Descent of Amitabha”and Deathbed Rituals of the Goryeo Dynasty

미술자료 | 80 | 2011 | 미술사

고려의 중국불화 선택과 변용

The Selection and Transformation of Chinese Buddhist painting in Goryeo

미술사연구 | 25 | 2011 | 미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