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 전선

연구분야 : A020206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 한국현대사

클래스 : 전략/전술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2553

한자 : 統一戰線
영어 : united front

d04-04 전략/전술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2:전체

BT (상위어)

 

 

정치 전선 [ 政治戰線 ]

R1:개념적

RT (관련어)

 

c03-05 정치/국제 정치/국제

인민 전선 [ 人民戰線 ]

R2:기능적

isProducedBy (생산/제작의 주체)

 

a02-01 행정/공공기관 행정/공공기관

공산당 [ 共産黨 ]

8ㆍ15 당시 여운형의 과도정부 구상과 여운형ㆍ엔도 회담

The Interim Government Plan of Lyuh Woon-Hyung and the Talks between Lyuh and Endo at the Time of Korean Liberation

아시아문화연구 | 27 | 2012 | 기타인문학

중국의 정치 제도와 권력 구조를 통해 본 중국의 종교 정책

The Chinese Religious Policy through a System of Government and Power Structure

선교신학 | 29 | 29 | 2012 | 기독교신학

탈냉전기 동북아 질서와 북한의 남북관계에 대한 인식

The Changes of North Korea’s Perception of Inter-Korean Relations

한국정치연구 | 19 | 3 | 2010 | 한국정치사회

탈냉전기 동북아 질서와 북한의 남북관계에 대한 인식

The Changes of North Korea’s Perception of Inter-Korean Relations

한국정치연구 | 19 | 3 | 2010 | 한국정치사회

‘분단극복사론’의 첫 성과 『조선민족혁명당과 통일전선』

The First Theoretical Attempt to Overcome the Division of Korea-The National Revolutionary Party of Korea and the United Front-

한국사연구 | 149 | 2010 | 역사학

‘분단극복사론’의 첫 성과 『조선민족혁명당과 통일전선』

The First Theoretical Attempt to Overcome the Division of Korea-The National Revolutionary Party of Korea and the United Front-

한국사연구 | | 149 | 2010 | 역사학

민주주의민족통일전국연합과 정치조직 논쟁 - 반제 통일전선 전통의 복원과 정치세력화의 지체

Political Controversy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United Front and Political Party within National Association for Democracy and Reunification of Korea (NADRK) : The restoration of tradition for Anti-imperialist United Front and faced delays on political force-building of NLPDR movements bloc in S. Korea

기억과 전망 | 24 | 2011 | 사회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