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혼권

연구분야 : B110500 사회과학 > 인류학 > 친족및혼인

클래스 : 관념적공간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2569

STNet ID : 1000942

한자 : 通婚圈

e04-02 관념적공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2:전체

isBranchOf (분기의 기준 개념)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지역권 [ 地域圈 ]

N1:종류

hasKind (종류)

 

 

카스트 내혼

hasKind (종류)

 

 

종족외혼

hasKind (종류)

 

 

족내혼

hasKind (종류)

 

 

족외혼

출상(出喪)의례 형식의 변모와 공동체 네트워크 -신안군 하의면 후광 2구 소포마을 사례를 대상으로-

Changes in Funeral Procession (出喪) Rituals and Community Network -Focusing on Sopo Village, Hugwang-2-gu, Haui-myeong, Sinan-gun-

남도민속연구 | 23 | 2011 | 역사학

조선후기 평민 동성촌락의 성장

Development of a Commoner Single-Lineage Village in the late Joseon Dynasty

민족문화연구 | 52 | 2010 | 기타인문학

조선후기 평민 동성촌락의 성장

Development of a Commoner Single-Lineage Village in the late Joseon Dynasty

민족문화연구 | | 52 | 2010 | 기타인문학

임란 전후 보성 장흥지방 在地士族의 사회적 기반 -임란 당시 전라좌의병 지도층과 그 가문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ocial Bases of Jaejisajok in Jangheung, Boseong around Japanese Invasion into Korea in 1592 -With a focus on the commanders of the Jeollajwa loyal troops during the war and their families-

호남학 | 50 | 2011 | 기타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