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유사』에 재현된 여성의 양성성에 대한 현대적 문화 담론 연구 ― <기이편>에 등장하는 여성을 중심으로 ―
A Study about the Modern Cultural Discourse of Female Androgyny in SamgukYusa ― Focusing on Females in the Strange Stories―
인간연구 |
20 |
2011 |
철학
임노월 문학의 악마성과 탈근대성
A Study on Devilishness and Post-Modernity in Lim No-wol's literature
국제어문 |
50 |
2010 |
한국어와문학
임노월 문학의 악마성과 탈근대성
A Study on Devilishness and Post-Modernity in Lim No-wol's literature
국제어문 |
|
50 |
2010 |
한국어와문학
탈고향의 과정과 현대적 감수성의 양상 -이효석의 「화분」을 중심으로-
The Aspect of Process of Leaving Home and Modernity: Focusing on Lee Hyo-Seok’s Hwabun
어문연구(語文硏究) |
38 |
4 |
2010 |
한국어와문학
탈고향의 과정과 현대적 감수성의 양상 -이효석의 「화분」을 중심으로-
The Aspect of Process of Leaving Home and Modernity: Focusing on Lee Hyo-Seok’s Hwabun
어문연구(語文硏究) |
38 |
4 |
2010 |
한국어와문학
체홉의 ‘팜므 파탈(Femme Fatale)’ 캐릭터 연구
A Study on “Femme Fatale” Characters of Chekhov
러시아어문학연구논집 |
36 |
2011 |
러시아어와문학
구스타프 클림트의 팜므파탈 이미지를 응용한 아트메이크업 디자인
Art-Makeup Design Using The Femme Fatale Image in Gustav Klimt's works
한국디자인포럼 |
31 |
2011 |
디자인
영화 「테레즈 라캥」과 「박쥐」에 나타난 여성의 욕망
Le désir féminin des deux films 「Thérèse Raquin」 et 「Bak-Jwi」
한국프랑스학논집 |
73 |
2011 |
프랑스어와문학
광고메이크업에 나타난 팜므 파탈(Femme Fatale)이미지 - 향수광고를 중심으로 -
Femme Fatale Image Shown in the Advertising Make-up - Centered on the Perfume Advertising -
한국디자인포럼 |
27 |
2010 |
디자인
광고메이크업에 나타난 팜므 파탈(Femme Fatale)이미지 - 향수광고를 중심으로 -
Femme Fatale Image Shown in the Advertising Make-up - Centered on the Perfume Advertising -
한국디자인포럼 |
|
27 |
2010 |
디자인
Trois femmes fatales de La Comédie humaine – Béatrix de Rochefide, Valérie Marneffe, et Fœdora
발자크 소설에 나오는 세 명의 ‘팜므 파탈’: 베아트릭스, 발레리, 그리고 푀도라
불어불문학연구 |
81 |
2010 |
프랑스어와문학
Trois femmes fatales de La Comédie humaine – Béatrix de Rochefide, Valérie Marneffe, et Fœdora
발자크 소설에 나오는 세 명의 ‘팜므 파탈’: 베아트릭스, 발레리, 그리고 푀도라
불어불문학연구 |
|
81 |
2010 |
프랑스어와문학
한·몽 현대소설에 나타난 팜므파탈형 여주인공 비교연구-염재만의『반노』와 르 차이넘의『흑화』를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n the Femme Fatale type of Actress in the modern novel between Korea and Mongol. - focused on the 『Betrayer Slave(Ban-no)』by Yum, Jae-Man and 『Black Flower(Хар цэцэг)』 by Le Chainum
몽골학 |
28 |
2010 |
기타동양어문학
한·몽 현대소설에 나타난 팜므파탈형 여주인공 비교연구-염재만의『반노』와 르 차이넘의『흑화』를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n the Femme Fatale type of Actress in the modern novel between Korea and Mongol. - focused on the 『Betrayer Slave(Ban-no)』by Yum, Jae-Man and 『Black Flower(Хар цэцэг)』 by Le Chainum
몽골학 |
|
28 |
2010 |
기타동양어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