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인홍

연구분야 : A020203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 조선전기사

클래스 : 실존인물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26876

한자 : 鄭仁弘

y01-01 실존인물

시대

조선 전기 (朝鮮前期)

출생지

합천 (陜川)

국적

조선 (朝鮮)

직업

문신 (文臣)

생몰년_t

1535-1623

성별2

남자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덕원 [ 德遠 ]

UF (비우선어)

 

내암 [ 來庵 ]

B2:전체

isMemberOf (소속 집단/조직체)

 

y06-03 학파/종파명 학파/종파명

남명학파 () [ 南冥學派 ]

isMemberOf (소속 집단/조직체)

 

y06-01 조직/단체명 조직/단체명

대북 [ 大北 ]

B3:개념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a01-06-02 인간(지위/벼슬) 인간(지위/벼슬)

정운공신 [ 定運功臣 ]

R1:개념적

affects (영향)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이이첨 [ 李爾瞻 ]

RT (관련어)

간행

y02-01 문헌명 문헌명

남명집 갑진본 [ 南冥集 甲辰本 ]

R2:기능적

hasOpposition (대항/억제)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심의겸 () [ 沈義謙 ]

『南冥集』 初刊年代 辨正

Demonstration about the first edition of the Nam-myeong Collection

南冥學硏究 | 30 | 2010 | 철학

北人 학파의 연원과 사상, 그리고 현실인식

The Origin and Philosophy of the “Northerners School(北人),” and their Perception of the world

한국철학논집 | 32 | 2011 | 한국철학일반

임진왜란 시기 來庵 鄭仁弘의 의병운동

The Volunteer Corps Movement of Jeong, In-Hong(鄭仁弘)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1592~1598(壬辰倭亂)

역사와경계 | 81 | 2011 | 역사학

조선 선조대 남북 분당과 내암 정인홍

Jeong, In―Hong's Roles in the Split Between Namin and Bukin Party During the Period of King Seonjo

역사와경계 | 81 | 2011 | 역사학

정인홍의 지역적 기반과 정치활동- 선조 시대를 중심으로 -

Jeong, In-Hong's local background and his political activities - Examination of his actions during King Seonjo's reign

역사와경계 | 81 | 2011 | 역사학

爲民과 休息의 정치론- 來庵 鄭仁弘의 정치의식과 현실인식 -

Political theory of citizen-care and rest - Realistic acknowledgement and political theory of Jeong, In-Hong

역사와경계 | 81 | 2011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