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어집주

연구분야 :

클래스 :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27288

한자 :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2:전체

isComponentOf (전체-정체성유지)

 

y02-01 문헌명 문헌명

사서집주 () [ 四書集註 ]

주희와 왕부지의 욕망관 분석 - 『논어집주』와 『독논어대전설』의 내용을 중심으로

朱熹与王夫之的欲望观分析–以≪论语集注≫与≪读论语大传说≫的内容为中心

동양철학연구 | 61 | 2010 | 철학

주희와 왕부지의 욕망관 분석 - 『논어집주』와 『독논어대전설』의 내용을 중심으로

朱熹与王夫之的欲望观分析–以≪论语集注≫与≪读论语大传说≫的内容为中心

동양철학연구 | | 61 | 2010 | 철학

『논어』<학이>에 나타난 ‘배움[學]’의 본질과 도덕교육 - 『논어집주』와 『논어고금주』를 중심으로 -

The Essence of Learning in Chapter ‘Hagi’ of the Analects of Confucius and the Meaning in Moral Education ― focused on Nonǒjibju and Nonǒkogǔmju

도덕윤리과교육 | 33 | 2011 | 교육학

『논어』<학이>에 나타난 ‘배움[學]’의 본질과 도덕교육 - 『논어집주』와 『논어고금주』를 중심으로 -

The Essence of Learning in Chapter ‘Hagi’ of the Analects of Confucius and the Meaning in Moral Education ― focused on Nonǒjibju and Nonǒkogǔmju

도덕윤리과교육 | 33 | 2011 | 교육학

<論語>경학에서의 ‘學’ 개념과 그 인식 층위-조선 주자학자의 ‘學而時習之’章 주석을 중심으로-

The Concept of 'Learning' in the Hermeneutics of Confucian Analects

한국한문학연구 | 45 | 2010 | 한국어와문학

<論語>경학에서의 ‘學’ 개념과 그 인식 층위-조선 주자학자의 ‘學而時習之’章 주석을 중심으로-

The Concept of 'Learning' in the Hermeneutics of Confucian Analects

한국한문학연구 | | 45 | 2010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