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꼼수다

연구분야 : B190106 사회과학 > 신문방송학 > 신문방송학일반 > 인터넷신문/방송

클래스 : 방송(프래그램)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27444

한자 :

y02-04 방송(프래그램)명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나꼼수

R1:개념적

hasIssue (이슈/주제)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이명박 [ 李明博 ]

R2:기능적

hasMethod (방법/기법)

 

a04-06 도구/수단 도구/수단

팟 캐스트 [pod cast]

isProducedBy (생산/제작의 주체)

 

 

주진우

isProducedBy (생산/제작의 주체)

 

 

김용민

isProducedBy (생산/제작의 주체)

 

 

김어준

isProducedBy (생산/제작의 주체)

 

 

정봉주

디지털 세대와 소셜 미디어 문화정치

The Digital Generation and a Cultural Politics Using Social Media

동향과 전망 | 84 | 2012 | 사회과학일반

정보사회의 권력관계와 대항권력의 형성: '나는 꼼수다'를 사례로

The Power Relationship in Information Society and the Formation of Resistance: The Case of "I'm a Petty-Minded Creep"

정보사회와 미디어 | 23 | 2012 | 정보/과학기술사회학

소셜 미디어 시대와 선거의 변화: 인터넷 팟캐스트 ‘나는 꼼수다’의 대학생 정치참여 효과를 중심으로

Social Media Age and the Changes in Election

시민사회와 NGO | 10 | 1 | 2012 | 기타사회과학일반

포스트저널리즘 시대의 이해를 위한 탐색적 연구 ― <나는 꼼수다>의 사례를 중심으로

An Exploratory Study for Understanding Post-journalism Era ― Focusing on the case of

언론과학연구 | 12 | 3 | 2012 | 신문방송학

“나꼼수현상”이 그려내는 문화정치의 명암: 권력-대항적인 정치시사콘텐츠의 함의를 맥락화하기

A Critical Analysis of and Its Implications

한국언론정보학보 | 58 | 2 | 2012 | 신문방송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