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시

연구분야 :

클래스 :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27560

한자 :
러시아어 : Tzygany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Eco’s The Name of the Rose: The Relevance of the Neo-Baroque

움베르토 에코의 『장미의 이름』과 네오 바로크

비교문학 | 50 | 2010 | 인문학

Eco’s The Name of the Rose: The Relevance of the Neo-Baroque

움베르토 에코의 『장미의 이름』과 네오 바로크

비교문학 | | 50 | 2010 | 인문학

생성과 통합의 시학: 러시아 네오리얼리즘

Russian Neorealism as the Poetics of Genesis and Integration

노어노문학 | 23 | 4 | 2011 | 러시아어와문학

‘아라리’ 구음의 보편성과 한국적 독자성

The Universality and Korean Identity of the Sound Arari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 20 | 2 | 2012 | 기타인문학

시학의 원리로서 알레고리의 가능성 - 오장환 시를 중심으로

A study on Possibility of Allegory as Principles of Poetics - Centered on Oh, Jang-whan's poems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4 | 3 | 2010 | 한국어와문학

시학의 원리로서 알레고리의 가능성 - 오장환 시를 중심으로

A study on Possibility of Allegory as Principles of Poetics - Centered on Oh, Jang-whan's poems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4 | 3 | 2010 | 한국어와문학

줄리언 반즈의 사랑 소설에 나타난 사랑의 의미: 소외와 긍정, 그리고 ‘당신’의 탄생

Reflections on Love in Julian Barnes's Talking It Over and Love, etc.: Exile, Affirmation, and the Birth of ‘You’

현대영미소설 | 18 | 2 | 2011 | 영어와문학

미국의 로맨스 소설과 프래그머티즘 철학과의 연속성에 관한 고찰—허먼 멜빌의『모비딕』을 중심으로

A Study of the Continuity Between the American Romance Novel and American Pragmatism: A Reading of Herman Melville’s Moby-Dick

영어영문학 | 58 | 2 | 2012 | 영어와문학

D. H. 로렌스의 「목사의 딸들」과 『처녀와 집시』에 나타난 두 자매 모티프

The Two-sisters Motif in D. H. Lawrence’s “Daughters of the Vicar” and The Virgin and the Gipsy

D.H. 로렌스 연구 | 19 | 2 | 2011 | 영어와문학

La facture picturale de Cézanne et l'écriture de la fragmentation chez Claude Simon

세잔의 회화기법과 클로드 시몽의 파편화 fragmentation 글쓰기

불어불문학연구 | 81 | 2010 | 프랑스어와문학

La facture picturale de Cézanne et l'écriture de la fragmentation chez Claude Simon

세잔의 회화기법과 클로드 시몽의 파편화 fragmentation 글쓰기

불어불문학연구 | | 81 | 2010 | 프랑스어와문학

Erinnerungen an den Holocaust - Zu den Autobiografien von Philomena Franz und Ceija Stojka

홀로코스트에 대한 기억. 필로메나 프란츠와 챠이야 스토이카의 자서전에 관하여

독일어문화권연구 | 19 | 2010 | 기타인문학

Erinnerungen an den Holocaust - Zu den Autobiografien von Philomena Franz und Ceija Stojka

홀로코스트에 대한 기억. 필로메나 프란츠와 챠이야 스토이카의 자서전에 관하여

독일어문화권연구 | | 19 | 2010 | 기타인문학

포스트 사회주의 동유럽의 새로운 집시 대중문화: 그 가능성과 한계

Post-Socialist Eastern Europe and New Gypsy Counterculture

역사와 문화 | 19 | 2010 | 문화사(역사학)

포스트 사회주의 동유럽의 새로운 집시 대중문화: 그 가능성과 한계

Post-Socialist Eastern Europe and New Gypsy Counterculture

역사와 문화 | | 19 | 2010 | 문화사(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