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후 습지

연구분야 : B160300 사회과학 > 지리학 > 자연지리학

클래스 : 자연적공간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27617

한자 : 背後濕地
영어 : back marsh

e04-03 자연적공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e04-03 자연적공간 자연적공간

습지 [ 濕地 ]

R1:개념적

RT (관련어)

 

e04-03 자연적공간 자연적공간

범람원 [ 汎濫原 ]

RT (관련어)

 

 

기후 습지

RT (관련어)

 

 

자연 제방

충남 부여지역의 홀로세 기후변화 -탄소동위원소분석과 대자율분석을 이용하여-

Holocene Environments of the Buyeo Area Choongnam Province: Reconstructed from Carbon Isotopic and Magnetic Evidences from Alluvial Sequences

대한지리학회지 | 46 | 4 | 2011 | 지리학

대구광역시 칠곡 팔계평야의 지형발달과 경관변화

Environment Training Institute), lwh7152@hanmail.net Geomorphological Development of Palgye Alluvial Plain and Landscape Change of the Chilgok area, Northeastern Part of Daegu Metropolitan City

한국지형학회지 | 17 | 4 | 2010 | 지리학

대구광역시 칠곡 팔계평야의 지형발달과 경관변화

Environment Training Institute), lwh7152@hanmail.net Geomorphological Development of Palgye Alluvial Plain and Landscape Change of the Chilgok area, Northeastern Part of Daegu Metropolitan City

한국지형학회지 | 17 | 4 | 2010 | 지리학

토평천 하류 구간의 지형발달

Geomorphic Development in Lower Reach of TopyeongCheon River

한국사진지리학회지 | 22 | 1 | 2012 | 기타지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