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문서

연구분야 : A020000 인문학 > 역사학

클래스 : 교재/재료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280

STNet ID : 1000094

한자 : 古文書
영어 : ancient documents

a04-03 교재·자료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a04-03 교재·자료 교재/재료

문서 [ 文書 ]

B2:전체

isComponentOf (전체-정체성유지)

 

a04-03 교재·자료 교재/재료

고문헌 [ 古文獻 ]

N1:종류

hasKind (종류)

 

a04-03 교재·자료 교재/재료

감결 [ 甘結 ]

hasKind (종류)

 

a04-03 교재·자료 교재/재료

소지 [ 所志 ]

hasKind (종류)

 

a04-03 교재·자료 교재/재료

한글 고문서 [ --古文書 ]

hasKind (종류)

 

a04-03 교재·자료 교재/재료

유지 (왕명서) [ 有旨 ]

hasKind (종류)

 

a04-03 교재·자료 교재/재료

병서 [ 兵書 ]

hasKind (종류)

 

a04-03 교재·자료 교재/재료

해유문서 [ 解由文書 ]

hasKind (종류)

 

a04-03 교재·자료 교재/재료

한국 고문서 [ 韓國古文書 ]

R1:개념적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y02-01 문헌명 문헌명

고문서집성 () [ 古文書集成 ]

RT (관련어)

 

a04-03 교재·자료 교재/재료

수집 고문서 [ 蒐集古文書 ]

RT (관련어)

 

A04 인공물 인공물

교지류 [ 敎旨類 ]

RT (관련어)

 

y07-03 건축물/시설물명 건축물/시설물명

장서각 () [ 藏書閣 ]

RT (관련어)

 

a04-03 교재·자료 교재/재료

보존 문서 [ 保存文書 ]

RT (관련어)

 

a04-02 재료/부품 재료/부품

명문류 [ 明文類 ]

갑오경장기 지방제도와 군사제도의 개혁 그리고 지역 사회의 대응 -동래 관찰부 문서들에 기초한 사례 연구-

A Study of Reform of the Local Government and Military System and Local Society's Reaction to Kabo Reform of 1894 in Korea -A Case Study of Dongnae Local Government and Society through the Old Documents

영남학 | 20 | 2011 | 기타인문학

『監戒錄』을 통해본 19세기 전반 함창 재지사족의 生活樣式

The Lifestyle of Noblemen in Hamchang in the early Nineteenth Century through 『Gamgyerok』

영남학 | 18 | 2010 | 기타인문학

『監戒錄』을 통해본 19세기 전반 함창 재지사족의 生活樣式

The Lifestyle of Noblemen in Hamchang in the early Nineteenth Century through 『Gamgyerok』

영남학 | | 18 | 2010 | 기타인문학

古文書를 통해본 高靈 商務社와 그 관련 儀禮

The Origin and Related Rite of Goryeong Sangmusa’s Through Ancient Documents

영남학 | 47 | 2010 | 유교학

古文書를 통해본 高靈 商務社와 그 관련 儀禮

The Origin and Related Rite of Goryeong Sangmusa’s Through Ancient Documents

영남학 | | 47 | 2010 | 유교학

한국국학진흥원 소장 族譜, 童蒙書, 地誌, 日記類 등 책판의 성격과 가치

The Nature and Value of Woodblocks Housed in Korea Studies Advancement Center including Genealogical Tables, Dongmongseos, Jijis, and Journals

대동문화연구 | 70 | 2010 | 기타인문학

한국국학진흥원 소장 族譜, 童蒙書, 地誌, 日記類 등 책판의 성격과 가치

The Nature and Value of Woodblocks Housed in Korea Studies Advancement Center including Genealogical Tables, Dongmongseos, Jijis, and Journals

대동문화연구 | | 70 | 2010 | 기타인문학

고려시대 대장경·문집·고문서 자료의 정보화 현황과 전산화 방안

A Study on the Method of Computerization about the Tripitaka(大臧經) & Miscellany(文集) & Historical Manuscripts(古文書) that was written at Period of the Goryeo Dynasty(高麗王朝)

한국중세사연구 | 30 | 2011 | 역사학

東北亞에 있어서 對馬島 領土 硏究

日本文化學報 | 45 | 2010 | 일본어와문학

東北亞에 있어서 對馬島 領土 硏究

日本文化學報 | | 45 | 2010 | 일본어와문학

지역학으로서의 한문학, 연구 범위와 전망

Korean Literature in Classical Chinese as Regional Study : the Research Scope and Perspectives

漢文古典硏究 | 22 | 1 | 2011 | 한국어와문학

강원도내 戶口 古文書의 현황과 특이 사례에 대한 검토

A study on the status of ancient documents of family register in Gangwon-do and some distinctive cases

古文書硏究 | 39 | 2011 | 역사학

강원지역의 고문서ㆍ고서 정리현황과 조사방법

Arranging and Surveying Ancient documentsㆍOld Books in the Gangwon Region

古文書硏究 | 39 | 2011 | 역사학

고등학교 국사 교수-학습에서의 고문서 사료학습

A Study on the Teaching and Learning Used Ancient Documents as the Learning Materials in the Korean History Classes of High School

역사교육 | 117 | 2011 | 역사학

고등학교 국사 교수-학습에서의 고문서 사료학습

A Study on the Teaching and Learning Used Ancient Documents as the Learning Materials in the Korean History Classes of High School

역사교육 | 117 | 2011 | 역사학

古文書를 통해 본 族譜 編刊 과정상의 紛爭

Disputes in the Process of Jokbo Compilation Found in Antique Documents

한국학논집 | 44 | 2011 | 기타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