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속

연구분야 : A020105 인문학 > 역사학 > 역사일반 > 사회사(역사학)

클래스 : 사회제도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2903

STNet ID : 1000961

한자 : 風俗, 風俗
영어 : habit

d02-01 사회제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풍습 [ 風習 ]

UF (비우선어)

 

 

습속 [ 習俗 ]

UF (비우선어)

 

 

풍기 [ 風氣 ]

N1:종류

hasKind (종류)

 

 

생활 풍습 [ 生活風習 ]

hasKind (종류)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장례풍속 [ 葬禮風俗 ]

R1:개념적

hasIssue (이슈/주제)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전승 의식 [ 傳承儀式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e01-05 공연예술 공연예술

풍속극 [ 風俗劇 ]

RT (관련어)

 

c03-03 문화/생활 문화/생활

풍기문란 [ 風紀紊亂 ]

RT (관련어)

 

E01 유형/양식/장르 유형/양식/장르

민속 예술 () [ 民俗藝術 ]

RT (관련어)

 

c03-03 문화/생활 문화/생활

대중화 [ 大衆化 ]

RT (관련어)

 

x02-03 시점 시점

속절 [ 俗節 ]

RT (관련어)

 

 

흥학 [ 興學 ]

RT (관련어)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풍교 [ 風敎 ]

北魏後期 洛陽거주 胡人들의 생활과 문화 ― 孝文帝의 ‘漢化政策’의 재검토 ―

The Xianbeis’ Nomadic or Pastoral Culture in After Xiaowen Emperor’s polocy of Sincization in Beiwei Period

중국고중세사연구 | 24 | 2010 | 역사학

北魏後期 洛陽거주 胡人들의 생활과 문화 ― 孝文帝의 ‘漢化政策’의 재검토 ―

The Xianbeis’ Nomadic or Pastoral Culture in After Xiaowen Emperor’s polocy of Sincization in Beiwei Period

중국고중세사연구 | | 24 | 2010 | 역사학

조명암의 「남사당」연작시 연구

A Study on Jo Myung-am's ‘Namsadangpae’ Poetry

국어국문학 | 161 | 2012 | 한국어와문학

『국문장편 고전소설 감상사전』 ‘생활-문화’ 항목 설계의 방향과 의미

Study on Orientation and Meaning of the ‘Life-Culture’ Category’s Design in Appreciation Encyclopedia

한국문화연구 | 21 | 2011 | 기타인문학

연암소설의 민속적 성격 고찰

A Study on Folkloristic Characters in Yeonam's Novels

인문학연구 | 39 | 2010 | 기타인문학

연암소설의 민속적 성격 고찰

A Study on Folkloristic Characters in Yeonam's Novels

인문학연구 | | 39 | 2010 | 기타인문학

고전소설 이해 교육 연구 -중고등학교 학습자의 삽화 이해를 중심으로

On the Teaching Korean Pre-modern Novels in the Middle and High School -focused on the understanding episodes of novels

국어교육연구 | 27 | 2011 | 국어교육

근대 초기의 풍속과 민족주의적 열정 -<성천강>(안수길)론-

The Customs and Nationalistic Inspiration of the Early Modern Ages in Korea -Study on

현대소설연구 | 48 | 2011 | 한국어와문학

『천변풍경』의 작품 세계 —객관적 재현과 주관적 변형의 대위법

The World of "CheonByeonPungKyeong" —Counterpoint of objective representation and subjective variation-

반교어문연구 | 32 | 2012 | 한국어와문학

『세켄 데카케카타기(世間妾形気)』에 나타난 풍속표현에 대한 고찰 — 권1의 제2화를 중심으로 —

『世間妾形気』に現れた風俗表現に関する考察 —巻一の第二話を中心に—

日本思想 | 20 | 2011 | 철학

『京都雜志』 연구 - 저술 과정과 이본 검토 -

The genealogy of the seasonal customs' books in the latter period of Chosun Dynasty - The process of writing and the examination of a different written version -

동양한문학연구 | 32 | 32 | 2011 | 한국어와문학

고려시대 기녀와 무당 풍속으로 읽는 「사모곡」

“Sa’mo-gok”, a song for the mother[parents], examined through the lives of the Gi’nyeo figures and the custom of necromancy, of the Goryeo dynasty period

역사민속학 | 32 | 2010 | 역사학

고려시대 기녀와 무당 풍속으로 읽는 「사모곡」

“Sa’mo-gok”, a song for the mother[parents], examined through the lives of the Gi’nyeo figures and the custom of necromancy, of the Goryeo dynasty period

역사민속학 | | 32 | 2010 | 역사학

명청시기 휘주의 혼인 풍속 연구

明清时期徽州婚姻的民俗

호남학 | 49 | 2011 | 기타인문학

중국 문신(文身) 습속

Customs of Tattoo in China

아시아문화연구 | 27 | 2012 | 기타인문학

한국적 근대와 성찰의 난경(難境) —최인훈의 『크리스마스 캐럴』 연구

Korean form of Modernity and Uneasiness of Reflection —On In-hoon Choi's A Christmas Carol

반교어문연구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적 근대와 성찰의 난경(難境) —최인훈의 『크리스마스 캐럴』 연구

Korean form of Modernity and Uneasiness of Reflection —On In-hoon Choi's A Christmas Carol

반교어문연구 |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안수길의 신문연재 소설에 나타난 연애와 풍속 -『제2의 청춘』과 『부교』를 중심으로-

Dating and Custom in Ahn Soo-kil's Novels -the case of "The Second Youth" and "Byogyo"-

한국근대문학연구 | 24 | 2011 | 한국어와문학

해방 전후의 안회남과 두 개의 「풍속」

A Study on An, Hoenam before and after the 1945 Liberation and Two Novel Texts Entitled ‘Customs’

비평문학 | 45 | 2012 | 한국어와문학

한반도 상공의 편서풍 변화 경향

Trend of the Westerlies over the Korean Peninsula

기후연구 | 5 | 1 | 2010 | 기후학

한반도 상공의 편서풍 변화 경향

Trend of the Westerlies over the Korean Peninsula

기후연구 | 5 | 1 | 2010 | 기후학

한국전쟁 후 풍속과 자유민주주의의 동태

Customs after Post-Korean War and movements of Liberal Democracy in Korea

동악어문학 | 56 | 2011 | 한국어와문학

풍속·문화론적 (문학) 연구와 개념사의 접속, 일상개념 연구를 위한 試論

The Conjunction of Cultural (Literary) Studies and Conceptual History: an essay to Establish a new research field of cultural concept studies

대동문화연구 | 70 | 2010 | 기타인문학

풍속·문화론적 (문학) 연구와 개념사의 접속, 일상개념 연구를 위한 試論

The Conjunction of Cultural (Literary) Studies and Conceptual History: an essay to Establish a new research field of cultural concept studies

대동문화연구 | | 70 | 2010 | 기타인문학

조선후기 西人 ㆍ 老論의 풍속인식과 그 기원

Recognition of Folk Lore taken by Seoin and Noron in the latter half of Joseon Dynasty and its origin

사학연구 | 102 | 2011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