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관기

연구분야 :

클래스 :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29078

한자 : 日觀記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癸未使行時의 筆談唱和와 大阪의 混沌社

Literary Writing Conversations during the Kyemi Visit(癸未使行) and Kondon-sya(混沌社) in Osaka

한국문학논총 | 54 | 2010 | 한국어와문학

癸未使行時의 筆談唱和와 大阪의 混沌社

Literary Writing Conversations during the Kyemi Visit(癸未使行) and Kondon-sya(混沌社) in Osaka

한국문학논총 | | 54 | 2010 | 한국어와문학

1763년 필담자료를 통해 본 에도에서의 문사 교류 - 『傾蓋集』 서문에 보이는 인식을 중심으로 -

A Study of Inter-Scholar Communications in the Edo Period through the Written Communication Record of 1763: Views Seen in the Introduction of Gyeonggaejib (傾蓋集)

동방학지 | 153 | 2011 | 기타인문학

1763년 필담자료를 통해 본 에도에서의 문사 교류 - 『傾蓋集』 서문에 보이는 인식을 중심으로 -

A Study of Inter-Scholar Communications in the Edo Period through the Written Communication Record of 1763: Views Seen in the Introduction of Gyeonggaejib (傾蓋集)

동방학지 | 153 | 2011 | 기타인문학

『日觀詩草』를 통해 본 秋月 南玉의 日本 認識

Chooweol Namok(秋月 南玉)'s consciousness of Japan reviewed by 『Ilkwansicho(日觀詩草)』

고전과 해석 | 8 | 2010 | 국문학사

『日觀詩草』를 통해 본 秋月 南玉의 日本 認識

Chooweol Namok(秋月 南玉)'s consciousness of Japan reviewed by 『Ilkwansicho(日觀詩草)』

고전과 해석 | 8 | | 2010 | 국문학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