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 문학

연구분야 :

클래스 :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2950

한자 : --文學
프랑스어 : prolétariat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se (우선어)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계급 문학 [ 階級文學 ]

‘사회주의적 사실주의’에서 ‘주체사실주의’로의 이행 -‘해방후 평화적 민주건설시기’에 대한 북한문학사의 기술 변화

Transition From Socialist Realism to Juche Realism. Evolution of the Description of Peaceful Democratic Construction Period After the Liberation in North Korea’s History of Literature

민족문학사연구 | 42 | 2010 | 한국어와문학

‘사회주의적 사실주의’에서 ‘주체사실주의’로의 이행 -‘해방후 평화적 민주건설시기’에 대한 북한문학사의 기술 변화

Transition From Socialist Realism to Juche Realism. Evolution of the Description of Peaceful Democratic Construction Period After the Liberation in North Korea’s History of Literature

민족문학사연구 | | 42 | 2010 | 한국어와문학

1930년대 김환태 문예이론의 비평사적 의의

Criticism-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Literary Theory of Whantae Kim in 1930's

비평문학 | 43 | 2012 | 한국어와문학

근대 도시의 청각적 재구성 - 1920년대 카프 시를 중심으로

An Acoustic Restructuring of Modern City - Focusing on the poetry of KAPF in 1920s

한국시학연구 | 28 | 2010 | 한국어와문학

근대 도시의 청각적 재구성 - 1920년대 카프 시를 중심으로

An Acoustic Restructuring of Modern City - Focusing on the poetry of KAPF in 1920s

한국시학연구 | | 28 | 2010 | 한국어와문학

식민지 시기 역사극의 동학농민운동 형상화 방식 연구

Study on the way of Portraying Donghak Movement in Historical Plays during Colonial Era

드라마 연구 | 32 | 2010 | 연극이론

식민지 시기 역사극의 동학농민운동 형상화 방식 연구

Study on the way of Portraying Donghak Movement in Historical Plays during Colonial Era

드라마 연구 | | 32 | 2010 | 연극이론

1920년대 김기진 비평에서 ‘감각’의 의미

‘Sensation’ and Kim, Gi-jin’s Criticisms in 1920s

비평문학 | 39 | 2011 | 한국어와문학

A Forgotten Aesthetic Reportage in Colonial Korea 1920s-1930s

근대 르포르타쥬 문학의 잊혀진 역사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 19 | 2 | 2011 | 기타인문학

사회주의 문화 담론과 프로문학 : 신경향파 문학 탄생의 주변(1920~1923)

A cultural discourse of socialism and the proletarian literature : The Erosion of the New Tendency Group's Literature and its Surrounding(1920~1923)

민족문학사연구 | 49 | 2012 | 한국어와문학

식민지 매체와 프로문학의 매체 전략

The Colonial Media and Media Strategy of Proletarian Literature

어문론총 | 53 | 2010 | 한국어와문학

식민지 매체와 프로문학의 매체 전략

The Colonial Media and Media Strategy of Proletarian Literature

어문론총 | | 53 | 2010 | 한국어와문학

1920년대 중반 염상섭 작품에 나타난 프로의식의 성격

A Study on the nature of the pro-consciousness appeared Yeum Sang-sup's literature in mid 1920s

한국문예비평연구 | 37 | 2012 | 한국어와문학

초기 프로문학에 나타난 ‘감성’과 ‘제도’의 문제

The emotion and system presented in the early Korean Proletarian Literature

현대문학의 연구 | 47 | 2012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