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도낙서

연구분야 : A030303 인문학 > 철학 > 동양철학 > 중국철학

클래스 : 문서(보고서)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3030

STNet ID : 9009563

한자 : 河圖洛書

y02-06 문서(보고서)명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도서 [ 圖書 ]

R1:개념적

isTributaryOf (합류/통합)

 

 

낙서 [ 洛書 ]

isTributaryOf (합류/통합)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하도 [ 河圖 ]

originatesFrom (기원/근원)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홍범 [ 洪範 ]

originatesFrom (기원/근원)

 

y02-01 문헌명 문헌명

주역 () [ 周易 ]

originatesFrom (기원/근원)

 

 

팔괘 () [ 八卦 ]

{역학계몽}에 나타난 주자역학의 특징 - 소강절 역학의 수용과 변용을 중심으로

The Characteristics of Zhu Xi's Theory of I-Qing in Yi Xue Qi Meng(易學啓蒙)

한국철학논집 | 28 | 2010 | 한국철학일반

{역학계몽}에 나타난 주자역학의 특징 - 소강절 역학의 수용과 변용을 중심으로

The Characteristics of Zhu Xi's Theory of I-Qing in Yi Xue Qi Meng(易學啓蒙)

한국철학논집 | | 28 | 2010 | 한국철학일반

『正易』에서의 天之曆數에 관한 小考 (時間論을 中心으로)

正易で見た天之暦数の小考 (時間論を中心で)

철학논총 | 61 | 3 | 2010 | 철학

『正易』에서의 天之曆數에 관한 小考 (時間論을 中心으로)

正易で見た天之暦数の小考 (時間論を中心で)

철학논총 | 61 | 3 | 2010 | 철학

주역의 중천건ㆍ중지곤괘 「용구용육」 효사의 정역적 해석

「周易」の重天乾卦及び、重地坤卦の 「用九ㆍ用六」を韓國の易學的な立場から解釋

仙道文化 | 13 | 2012 | 기타철학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