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버마스

연구분야 : A030405 인문학 > 철학 > 서양철학 > 서양근대독일철학
B080100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이론/사상사

클래스 : 실존인물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3039

한자 :
독일어 : Habermas, Jurgen
독일어 : Jürgen Habermas
동의어(UF) : 위르겐 하버마스

y01-01 실존인물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affects (영향)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악셀 호네트 [Honneth, Axel]

isAffectedBy (영향요인)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해석학 (철학) [ 解釋學 ]

isAffectedBy (영향요인)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비판적 합리주의 [ 批判的合理主義 ]

RT (관련어)

 

e04-02 관념적공간 관념적공간

사적 영역 [ 私的領域 ]

RT (관련어)

 

c01-02 기질/품질/형질/성향 기질/품질/형질/성향

현대성 () [ 現代性 ]

RT_Y (◄관련어)

관련 인물

y06-04 회의명 회의명

작은 공중 [ --公衆 ]

R3:시간적

co-occursWith (동시발생)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칼 오토 아펠 [Apel, Karl-Otto]

매개적 사유와 사회인문학의 철학적 기초

The Mediating Thought and the Philosophical Foundation of Social Humanities

사회와 철학 | 21 | 2011 | 철학일반

한국 언론의 경향성과 이른바 사실과 의견의 분리 문제

Tendentiousness of Korean Journalism and the Problem of ‘the Distinction Between Facts and Opinions’

한국언론학보 | 54 | 2 | 2010 | 신문방송학

한국 언론의 경향성과 이른바 사실과 의견의 분리 문제

Tendentiousness of Korean Journalism and the Problem of ‘the Distinction Between Facts and Opinions’

한국언론학보 | 54 | 2 | 2010 | 신문방송학

공공권에서의 ‘언어라는 장벽’: 칸트의 문제제기

The Barrier of Language in Public Space: A Kantian Problematic

정치사상연구 | 17 | 1 | 2011 | 정치외교학

학회를 통해 본 공공성과 학문성의 결합 가능성 - 한국 사회와철학연구회를 중심으로 -

The Possibility of the Academic Society as a Combined field of the Academia and the Public: Focusing on ‘Korean Society for Social Philosophy’

동방학지 | 149 | 2010 | 기타인문학

학회를 통해 본 공공성과 학문성의 결합 가능성 - 한국 사회와철학연구회를 중심으로 -

The Possibility of the Academic Society as a Combined field of the Academia and the Public: Focusing on ‘Korean Society for Social Philosophy’

동방학지 | | 149 | 2010 | 기타인문학

시민사회와 사회정의의 맥락에서 본 연대성의 위기와 그 극복 - 뒤르깽, 하버마스, 롤즈 그리고 왈쩌의 입장을 중심으로 -

The Crisis of Solidarity and its Overcome in Context of Civil Society and Social Justice - in the View of E. Durkheim, J. Habermas, J. Rawls and M. Walzer -

사회보장연구 | 27 | 4 | 2011 | 사회복지학

‘보수’와 ‘진보’, 그 경계를 넘어 - Gadamer, Habermas, Ricoeur의 해석학 논의를 중심으로 -

On the Hermeneutic Meaning of Conservativeness and Progress- focused on Gadamer, Habermas, and Ricoeur's Hermeneutics -

철학연구 | 117 | 2011 | 철학

인권의 담론이론적 정당화의 현황과 전망 - 하버마스, 알렉시, 포르스트의 논의를 중심으로 -

On Discourse-theoretic Justification of Human Rights: The Present State and Prospect

사회와 철학 | 19 | 2010 | 철학일반

인권의 담론이론적 정당화의 현황과 전망 - 하버마스, 알렉시, 포르스트의 논의를 중심으로 -

On Discourse-theoretic Justification of Human Rights: The Present State and Prospect

사회와 철학 | | 19 | 2010 | 철학일반

자유주의적 우생학에 대한 두 가지 비판 방식: 하버마스와 샌델의 논변을 중심으로

Two Criticisms of Libertarian Eugenics: Focused on J. Habermas and M. Sandel

철학연구 | 119 | 2011 | 철학

다원주의 사회에서 도덕적 행위 - 도덕성과 인륜성 -

Die moralische Handlung im Pluralismus - Moralität und Sittlichkeit -

철학연구 | 119 | 2011 | 철학

텔레비전을 통한 정치적 패러디: YTN 돌발영상, KBS 시사투나잇, MBC 무한도전의 사례를 중심으로

A critical analysis of political parodies on Korean television programs - "Sisa Tonight," "Dolbal Youngsang," and "Infinity Challenge."

언론과학연구 | 10 | 2 | 2010 | 신문방송학

텔레비전을 통한 정치적 패러디: YTN 돌발영상, KBS 시사투나잇, MBC 무한도전의 사례를 중심으로

A critical analysis of political parodies on Korean television programs - "Sisa Tonight," "Dolbal Youngsang," and "Infinity Challenge."

언론과학연구 | 10 | 2 | 2010 | 신문방송학

‘담론 Diskurs’ 개념과 이론의 스펙트럼

Zum Spektrum des Begriffes und der Theorie des Diskurses

독어교육 | 49 | 49 | 2010 | 독일어와문학

‘담론 Diskurs’ 개념과 이론의 스펙트럼

Zum Spektrum des Begriffes und der Theorie des Diskurses

독어교육 | 49 | 49 | 2010 | 독일어와문학

계몽주의, 모더니즘, 휴머니즘: 하버마스 vs. 푸코

Enlightenment, Modernism, Humanism: Habermas Vs. Foucault

철학논총 | 64 | 2 | 2011 | 철학

촛불집회를 통해 나타난 새로운 시민문화와 생활세계의 복원

Reconstruction of the World of Life by New Civic Culture Found in Candle Protests

사회과학논집 | 41 | 2 | 2010 | 기타사회과학일반

촛불집회를 통해 나타난 새로운 시민문화와 생활세계의 복원

Reconstruction of the World of Life by New Civic Culture Found in Candle Protests

사회과학논집 | 41 | 2 | 2010 | 기타사회과학일반

시민 교육의 방향에 대한 교육철학적 고찰: 것맨과 하버마스를 중심으로

Educational Philosophy of the Direction of Civic Education - In the Focus of Gutmann and Habermas

교육사상연구 | 25 | 2 | 2011 | 교육학

통일이후의 독일통일과 남북의 통일: 하버마스의 후기자본주의 사회통합 이론을 중심으로

Germany After Unification

세계지역연구논총 | 29 | 1 | 2011 | 정치외교학

미국공화주의의 현대 정치철학적 수용: “마이클만(Frank Michelman)의 법생성적(Juris-generative) 정치” 논의를 중심으로

Acceptance of America’s Republicanism by Contemporary Political Philosophy: Focusing on Frank Michelman’s Juris-generative Politics

미국사연구 | 34 | 2011 | 역사학

현대 독일어권의 문학과 철학적 사유 속에 나타난 대화와 소통의 문제 - Fr. 뒤렌마트(Dürrenmatt)와 J. 하버마스(Habermas)를 중심으로 -

Dialog und Kommunikation im literarischen und philosophischen Gedanken des gegenwärtigen Deutschlandes

동서철학연구 | 57 | 2010 | 철학

현대 독일어권의 문학과 철학적 사유 속에 나타난 대화와 소통의 문제 - Fr. 뒤렌마트(Dürrenmatt)와 J. 하버마스(Habermas)를 중심으로 -

Dialog und Kommunikation im literarischen und philosophischen Gedanken des gegenwärtigen Deutschlandes

동서철학연구 | | 57 | 2010 | 철학

헤겔의 종교 담론과 계몽의 계몽

Hegels Diskurs der Religion und Aufklärung der Aufklärung

철학논총 | 63 | 1 | 2011 | 철학

아렌트, 하버마스, 성찰적 공공성: 사회인문학적 고찰

Hannah Arendt, Jürgen Habermas and the Reflective Public Sphere

동방학지 | 155 | 2011 | 기타인문학

한상진의 사회이론과 성찰적 비판문법

Critical Social Theory of Han Sang-Jin and Grammar of the Reflexive Critique

사회와 이론 | 18 | 2011 | 기타사회학

우리의 대화를 지배하는 것은 우리의 마음이다 :대화에 있어서 정서의 우선성에 관한 시론

Our Conversation is Governed by Our Mind: The Primacy of Emotion in Conversation

한국언론학보 | 54 | 4 | 2010 | 신문방송학

우리의 대화를 지배하는 것은 우리의 마음이다 :대화에 있어서 정서의 우선성에 관한 시론

Our Conversation is Governed by Our Mind: The Primacy of Emotion in Conversation

한국언론학보 | 54 | 4 | 2010 | 신문방송학

이성과 실존 사이에서의 윤리학 ― 칸트의 목적의 왕국 및 실천이성의 요청에서 에벨링의 이상적 의미차원으로 ―

Ethik zwischen Vernunft und Existenz ― Von Kants Reich der Zwecke and Postulate der praktischen Vernunft zu Ebelings idealer Sinndimension ―

철학논총 | 67 | 1 | 2012 | 철학

하버마스의 비판적 사회이론과 황장엽의 인간중심철학 - 일원론적 역사유물론의 극복 시도로서의 두 ‘다원론적 실천철학 체계’에 대한 비교 검토 -

Habermas's Critical Theory of Society and Hwang's Inganjoongshim(Human-centered) Philosophy - A comparative study on the two 'systems of pluralistic practical philosophy' as the overcome-attempts of monistic Historical Materialism -

사회와 철학 | 19 | 2010 | 철학일반

하버마스의 비판적 사회이론과 황장엽의 인간중심철학 - 일원론적 역사유물론의 극복 시도로서의 두 ‘다원론적 실천철학 체계’에 대한 비교 검토 -

Habermas's Critical Theory of Society and Hwang's Inganjoongshim(Human-centered) Philosophy - A comparative study on the two 'systems of pluralistic practical philosophy' as the overcome-attempts of monistic Historical Materialism -

사회와 철학 | | 19 | 2010 | 철학일반

푸코와 하버마스의 도시계획관 비교연구

Foucault and Habermas‘s Implication on Planning

도시행정학보 | 23 | 4 | 2010 | 행정학

푸코와 하버마스의 도시계획관 비교연구

Foucault and Habermas‘s Implication on Planning

도시행정학보 | 23 | 4 | 2010 | 행정학

후기세속사회의 문화 패러다임 연구 - 하버마스와 라칭어의 대담을 중심으로

Eine Studie zu den postsäkularen Paradigmen - unter besonderer Berücksichtigung des Treffens zwischen Habermas und Ratzinger

독일어문학 | 18 | 2 | 2010 | 독일어와문학

후기세속사회의 문화 패러다임 연구 - 하버마스와 라칭어의 대담을 중심으로

Eine Studie zu den postsäkularen Paradigmen - unter besonderer Berücksichtigung des Treffens zwischen Habermas und Ratzinger

독일어문학 | 18 | 2 | 2010 | 독일어와문학

논증과 합리성 - 하버마스의 논증이론에 대한 고찰 -

Argumentation and Rationality

헤겔연구 | 29 | 2011 | 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