漢文脈의 이미저리, 『大韓民報』(1909∼1910) 漫評의 알레고리 읽기 - 1909년 연재분을 중심으로
The Imagery of the Sinographic Context, a Allegoric Reading of the Satirical Cartoons of Daehanminbo(大韓民報)(1909∼1010) ― Focusing on the 1909 series
대동문화연구 |
77 |
2012 |
기타인문학
의궤(儀軌)에 나타나는 고유 복식(服飾) 어휘 - 17세기 의궤를 중심으로 -
A transcribing Korean with Chinese characters of an Korean dress and its ornament vocabulary - Centering in Garyedogamuigwe(가례도감의궤) -
한국언어문학 |
73 |
2010 |
한국어와문학
의궤(儀軌)에 나타나는 고유 복식(服飾) 어휘 - 17세기 의궤를 중심으로 -
A transcribing Korean with Chinese characters of an Korean dress and its ornament vocabulary - Centering in Garyedogamuigwe(가례도감의궤) -
한국언어문학 |
|
73 |
2010 |
한국어와문학
김정한 소설어 연구 -민중성의 구현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novel language of Kim jeong―han ― Focus to on embody of popularity ―
한민족문화연구 |
36 |
2011 |
한국어와문학
땅이름 '지리산' 고찰
A Study on the Place Name of the ‘Jirisan'
지명학 |
17 |
2011 |
한국어와문학
백석 시의 로컬리티
The Locality of Baek Seok's Poetry
한국근대문학연구 |
25 |
2012 |
한국어와문학
단성 호적 인명에 관한 사회 언어학적 고찰
A Social―linguistic Study on Names of Dan―seong Family Register
한민족문화연구 |
36 |
2011 |
한국어와문학
문학 교육과 어휘 교육
Literary Education and Lexical Education
국어교육학연구 |
40 |
2011 |
한국어와문학
『瘡疹方撮要』의 同義語 硏究
Synonyms identified in Changjinbangchwalyo (瘡疹方撮要)
국어사연구 |
13 |
2011 |
국어사
용소, 가마소의 ‘소’와 漢字 ‘沼’에 관한 硏究
A Study on the Korean Word ‘소’ and Chinese Word ‘沼’
어문연구(語文硏究) |
38 |
2 |
2010 |
한국어와문학
용소, 가마소의 ‘소’와 漢字 ‘沼’에 관한 硏究
A Study on the Korean Word ‘소’ and Chinese Word ‘沼’
어문연구(語文硏究) |
38 |
2 |
2010 |
한국어와문학
대구 동상면 호적의 奴名에 관한 고찰 -1684년, 1786년, 1867년-
Study of Slave's name of Family resisters in Daegu Dongsang-myeon -1684, 1786, 1867-
반교어문연구 |
28 |
2010 |
한국어와문학
대구 동상면 호적의 奴名에 관한 고찰 -1684년, 1786년, 1867년-
Study of Slave's name of Family resisters in Daegu Dongsang-myeon -1684, 1786, 1867-
반교어문연구 |
|
28 |
2010 |
한국어와문학
간판 언어에 나타난 우리말의 표기 실태 연구 -대구 동성로 일대 옥외 광고물을 중심으로-
A Survey Study on Orthography of Signboard Language in Korean
한국어 의미학 |
31 |
2010 |
한국어와문학
간판 언어에 나타난 우리말의 표기 실태 연구 -대구 동성로 일대 옥외 광고물을 중심으로-
A Survey Study on Orthography of Signboard Language in Korean
한국어 의미학 |
31 |
|
2010 |
한국어와문학
固有語와 漢字語의 調和
The Harmony between Native Korean Words and Sino-Korean Words
어문연구(語文硏究) |
38 |
1 |
2010 |
한국어와문학
固有語와 漢字語의 調和
The Harmony between Native Korean Words and Sino-Korean Words
어문연구(語文硏究) |
38 |
1 |
2010 |
한국어와문학
『큰 사전』고유어 단일어의 음장 분석
A Study on the Vowel Length of The Kuen Dictionary's simplex
우리어문연구 |
37 |
2010 |
한국어와문학
『큰 사전』고유어 단일어의 음장 분석
A Study on the Vowel Length of The Kuen Dictionary's simplex
우리어문연구 |
|
37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어교육에서 고유어의 위상과 등급화 -고유어 용언을 중심으로-
A Study on Characterizing the Worth and Setting up the List of Pure-Korean Word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국어교육 |
132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어교육에서 고유어의 위상과 등급화 -고유어 용언을 중심으로-
A Study on Characterizing the Worth and Setting up the List of Pure-Korean Word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국어교육 |
|
132 |
2010 |
한국어와문학
現代國語 異種 語彙의 類義的 共存 樣相
A Study on the Synonymous Relation between Allovocabularies in Modern Korean
어문연구(語文硏究) |
39 |
2 |
2011 |
한국어와문학
문헌 성격에 따른 한자어 수용 양상
A Study of correlation between Literature data and Korean Loanword from Chinese
인문학논총 |
25 |
2011 |
기타인문학
영어+하다’류 외래어 형용사의 국어 내 정착 양상 연구 - 한자어, 고유어와의 유의 관계 분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ettlement of Loan Adjectives of ‘English+hada’ Type in the Korean Language – Focusing on their synonymic relation with Sino‐Korean words and native words
한국어 의미학 |
35 |
2011 |
한국어와문학
고유어 인명의 명명 특징
Characteristics of Naming Original Korean Names
인문학연구 |
38 |
4 |
2011 |
기타인문학
초등 교과서에 나타난 고유어와 한자어 비율에 따른 인식과 의미 분석
A Study on the Meaning Based on the Ratio of Pure-Korean Words and Sino-Korean Words Occurring in Elementary School Textbooks
국어교육학연구 |
44 |
2012 |
한국어와문학
고유어 ‘소’와 對應되는 漢字 ‘潭․湫․淵’에 관한 硏究
A Study on the Chinese Equivalents of Korean Word ‘소’
국어사연구 |
11 |
2010 |
국어사
고유어 ‘소’와 對應되는 漢字 ‘潭․湫․淵’에 관한 硏究
A Study on the Chinese Equivalents of Korean Word ‘소’
국어사연구 |
|
11 |
2010 |
국어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