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암 민제인의 인간관
立巖閔齊仁之人間觀
동서철학연구 |
55 |
2010 |
철학
입암 민제인의 인간관
立巖閔齊仁之人間觀
동서철학연구 |
|
55 |
2010 |
철학
중년기 성인 남녀의 성공, 실패, 미래성취의식: 전업주부, 취업주부와 그들의 남편을 중심으로
Perception of success, failure and future aspiration: With specific focus on middle-aged working women, housewives and their spouse
인간발달연구 |
18 |
2 |
2011 |
기타사회과학
다니자키 준이치로의 『癡人의 사랑』 論 - 「동화의 집」과 나오미를 중심으로 -
“The love of the ass” of Tanizaki Junichiro - Led by “house and Naomi of the fairy tale” -
일본어문학 |
50 |
2010 |
일본어와문학
다니자키 준이치로의 『癡人의 사랑』 論 - 「동화의 집」과 나오미를 중심으로 -
“The love of the ass” of Tanizaki Junichiro - Led by “house and Naomi of the fairy tale” -
일본어문학 |
|
50 |
2010 |
일본어와문학
여성 결혼이민자 부부 의사소통 특징 연구
The Study of Marriage Immigrant Couple Type
다문화콘텐츠연구 |
12 |
2012 |
기타사회과학일반
1960년 전후 (성)문화풍속과 ‘사랑’의 사회성 —손창섭의 <부부>(1962)를 중심으로—
The Sexual Customs in the proximity 1960 and the Publicity of Love
상허학보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1960년 전후 (성)문화풍속과 ‘사랑’의 사회성 —손창섭의 <부부>(1962)를 중심으로—
The Sexual Customs in the proximity 1960 and the Publicity of Love
상허학보 |
29 |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 부부의 결혼만족도에 관한 연구 - Gottman의 이론을 중심으로
A study on Korean couples' marital satisfaction based on Gottman's theory
인간이해 |
31 |
2 |
2010 |
상담심리/심리치료
한국 부부의 결혼만족도에 관한 연구 - Gottman의 이론을 중심으로
A study on Korean couples' marital satisfaction based on Gottman's theory
인간이해 |
31 |
2 |
2010 |
상담심리/심리치료
한국 근대회화에 표현된 부부(夫婦) 이미지
Husbands and Wives Images in Korean Modern Paintings
열린정신 인문학 연구 |
12 |
2 |
2011 |
기타인문학
부부조화 척도 개발
The Development of the Couple Harmony Scale for Married Women
상담학연구 |
11 |
4 |
2010 |
교육학
부부조화 척도 개발
The Development of the Couple Harmony Scale for Married Women
상담학연구 |
11 |
4 |
2010 |
교육학
외도위기부부의 용서를 위한 기독교상담적 접근
Christian Counseling Approach for Forgiveness of Couples on the Verge of Extramarital Affairs
복음과 상담 |
15 |
|
2010 |
목회상담학
부부 의사소통 유형과 부부 성만족도의 관계
The Relations between Types of Communication of Married Couples and Their Sexual Satisfaction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
17 |
2 |
2011 |
심리과학
16세기 夫婦間의 일상사 해결의 양상 - 柳希春과 宋德奉의 경우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ppearance of the marital problem-solving in 16C
동양고전연구 |
46 |
2012 |
기타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