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수 국적

연구분야 : B130210 사회과학 > 법학 > 공법 > 국제협력/국적법

클래스 :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32414

한자 : 複數國籍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se (우선어)

 

c03-05 정치/국제 정치/국제

중국적 [ 重國籍 ]

개정 국적법에 대한 비판적 고찰

일감법학 | 19 | 2011 | 기타법학

다문화사회와 국적

Multikulturelle Gesellschaft und Staatsangehörigkeit

헌법학연구 | 16 | 2 | 2010 | 헌법

다문화사회와 국적

Multikulturelle Gesellschaft und Staatsangehörigkeit

헌법학연구 | 16 | 2 | 2010 | 헌법

탈국가주의, 초국가주의, 이중시민권, 그리고 한국의 복수국적 허용에 대한 논의

Postnationalism, Transnationalism and Dual Citizenship: Discussion on Granting Dual Nationality in Korea

대한정치학회보 | 20 | 1 | 2012 | 기타사회과학일반

대한민국 국적법의 현황과 문제점

일감법학 | 17 | 2010 | 기타법학

대한민국 국적법의 현황과 문제점

일감법학 | | 17 | 2010 | 기타법학

복수국적자의 공무담임권 제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imitation of the Right to Take a Public Office of Multiple National

법학논총 | 19 | 2 | 2012 | 비교법학

복수국적자의 외교적 보호에 관한 소고 -개정 국적법에 대한 국제법적 관점에서의 해석을 중심으로-

Diplomatic Protection in Respect of a Multiple National -Interpretation of the Korean Nationality Act in View of International Law-

한양법학 | 35 | 2011 | 법해석학

헌법발전의 문제로서 복수국적의 헌법적 정당화

Constitutional Justification of Multiple Nationality as a Matter of Constitutional Development

동아법학 | 55 | 2012 | 법학

복수국적 허용의 국적법 개정과 의의

Allowance of Multiple-nationality: Amendment of Nationality Act and its Significances

홍익법학 | 11 | 2 | 2010 | 법학

복수국적 허용의 국적법 개정과 의의

Allowance of Multiple-nationality: Amendment of Nationality Act and its Significances

홍익법학 | 11 | 2 | 2010 | 법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