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문학

연구분야 : A110400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한문학

클래스 : 분과학문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3269

STNet ID : 1001001

한자 : 漢文學

d01-03 분과학문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한국 한문학 [ 韓國漢文學 ]

N2:부분

hasBranch (분기/분과)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한학 [ 漢學 ]

『국어국문학』에 반영된 고전문학 연구의 흐름

Tendency of Research on Classical Literature Reflected in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국어국문학 | 160 | 2012 | 한국어와문학

문일환 『조선고전문학사』의 기술 양상

A Study on the Aspects of Writing in Mun Il-Whan's 『History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

우리문학연구 | 34 | 2011 | 한국어와문학

한국근대의 ‘국문학’과 문학사 : 1930년대 趙潤濟와 金台俊의 조선문학연구

Gukmunhak and Its Literary History in Modern Korea: Choson Literature of Jo Yunjae and Gim Taejun in 1930s

민족문학사연구 | 46 | 2011 | 한국어와문학

星州 漢文學의 歷史的 展開樣相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Chinese Literature in Seongju(星州) Area

영남학 | 21 | 2012 | 기타인문학

조선시대 한문학에 나타난 인간과 자연의 관계 방식에 대하여

The Ecological Perspective of Korean Traditional Literature and Its Contemporary Significance

한국학논집 | 41 | 2010 | 기타인문학

조선시대 한문학에 나타난 인간과 자연의 관계 방식에 대하여

The Ecological Perspective of Korean Traditional Literature and Its Contemporary Significance

한국학논집 | | 41 | 2010 | 기타인문학

대학 교양으로서의 한문교육과 동아시아 한자문화권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s as University's Liberal Arts and Chinese Characters's Cultural Area of East Asia

韓國古典硏究 | 22 | 2010 | 고전산문

대학 교양으로서의 한문교육과 동아시아 한자문화권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s as University's Liberal Arts and Chinese Characters's Cultural Area of East Asia

韓國古典硏究 | | 22 | 2010 | 고전산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