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성순보

연구분야 : B190100 사회과학 > 신문방송학 > 신문방송학일반

클래스 : 신문/잡지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3281

한자 : 漢城旬報

y02-03 신문/잡지명

저작자

통리아문 박문국

장르/유형

신문 (新聞)

저작년_t

1883-1886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전후

LT (이후명)

 

y02-03 신문/잡지명 신문/잡지명

한성주보 () [ 漢城週報 ]

B3:개념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a04-03 교재·자료 교재/재료

관보 [ 官報 ]

R1:개념적

RT_Y (◄관련어)

간행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강위 [ 姜瑋 ]

R2:기능적

isProducedBy (생산/제작의 주체)

 

y06-01 조직/단체명 조직/단체명

박문국 [ 博文局 ]

『한성순보』, 『한성주보』, 『서유견문』에 나타난 ‘철학’ 개념에 대한 연구 — 동아시아적 맥락에서 —

On the Term, ‘Philosophy(哲學)’ in the Hansung Sunbo(『한성순보』), Hansung Jubo(『한성주보』) and Seoyukyunmun(『서유견문』) ― In Terms of East-Asian Perspective ―

개념과 소통 | 9 | 2012 | 역사학

근대 미디어로서의 관보 창간 -메이지 일본과 조선을 중심으로-

近代的なメディアとしての官報の創刊 - 明治日本と朝鮮を中心に -

日本學硏究 | 37 | 2012 | 일본어와문학

개화기 일본 신문명 어휘의 도입에 대하여 -『漢城旬報』를 중심으로 -

About the acceptance of a Japanese vocabulary in Hansungsunbo

日本學硏究 | 30 | 2010 | 일본어와문학

개화기 일본 신문명 어휘의 도입에 대하여 -『漢城旬報』를 중심으로 -

About the acceptance of a Japanese vocabulary in Hansungsunbo

日本學硏究 | 30 | | 2010 | 일본어와문학

『漢城旬報』의 外來 固有名詞에 대한 연구

A Study on Loaned Proper Noun in the Hanseongsunbo

어문학 | 110 | 2010 | 한국어와문학

『漢城旬報』의 外來 固有名詞에 대한 연구

A Study on Loaned Proper Noun in the Hanseongsunbo

어문학 | | 110 | 2010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