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증학

연구분야 : A030303 인문학 > 철학 > 동양철학 > 중국철학

클래스 : 분과학문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335

STNet ID : 1000101

한자 : 考證學

d01-03 분과학문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박학 [ 朴學 ]

UF (비우선어)

 

 

고거학 [ 考據學 ]

N2:부분

hasBranch (분기/분과)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금석학 [ 金石學 ]

R1:개념적

affects (영향)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북학 사상 [ 北學思想 ]

isConceptOf (개념(전체))

 

d01-04 개념(정의) 개념(정의)

경세치용 [ 經世致用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y02-01 문헌명 문헌명

일지록 [ 日知錄 ]

尺牘을 통한 淸代學人과의 학술교류 - 이덕무와 박제가를 중심으로 -

Academic Exchanges through Letters with Chinese Intellectuals of Qing Dynasty - Cases of Lee Deok-Mu and Park Je-Ga -

동양한문학연구 | 32 | 32 | 2011 | 한국어와문학

章學誠 『文史通義』 「原學」中․下篇 析疑 ― 淸代 乾嘉年間 學術談論에서의 ‘學’ 槪念 硏究(2)

중국어문학논집 | 71 | 2011 | 중국어와문학

국학과 과학 방법 : 후스(胡適)의 ‘국고정리론(國故整理論)’과 청대 학술의 해석

Scientific Method and Guoxue(National Learning): Hu Shi's hermeneutic explanation on Ch'ing Philological Studies and his methodology of re-evaluation of National Treasury.

한국실학연구 | 21 | 2011 | 역사학

18세기 후반-19세기 전반 조선의 碑學 유행과 그 의미

The Learning of Ancient Stone Monument between the Latter Half of 18th Century and the First Half of 19th Century in the Chosun Dynasty: Formation and Meaning

한국학 | 33 | 2 | 2010 | 기타인문학

18세기 후반-19세기 전반 조선의 碑學 유행과 그 의미

The Learning of Ancient Stone Monument between the Latter Half of 18th Century and the First Half of 19th Century in the Chosun Dynasty: Formation and Meaning

한국학 | 33 | 2 | 2010 | 기타인문학

『四庫全書總目提要』의 편찬과 청초 학술사조의 변화 양상 - 『四庫提要』「經部」의 분석을 중심으로 —

Compilation of SaGoJeonSeoChongMokJeYo (四庫全書總目提要) and Change of Academic Stream early in the Era of Ching - Focused on the Section of 'JeYo (提要)', 'GyeongBu (經部)'

동양철학연구 | 67 | 2011 | 철학

호적의 연구방법론 성립 과정, 응용 및 그 영향에 대한 고찰

Hu Shih's research method in his research works and its academic impact

동방학지 | 157 | 2012 | 기타인문학

『四庫全書總目提要』의 편찬과 청초 학술사조의 변화 양상 - 『四庫提要』「經部」의 분석을 중심으로 —

Compilation of SaGoJeonSeoChongMokJeYo (四庫全書總目提要) and Change of Academic Stream early in the Era of Ching - Focused on the Section of 'JeYo (提要)', 'GyeongBu (經部)'

동양철학연구 | 67 | 2011 | 철학

오타 긴죠의 탈소라이학 - 고증학적 방법과 복고 -

太田錦城の脱徂徠學 - 考証學的方法と復古 -

日本學硏究 | 35 | 2012 | 일본어와문학

翁方綱의 경학 연구 방법론

Weng fang-gang(翁方綱)'s Methodology of Studies on Chinese classics

漢文敎育硏究 | 38 | 2012 | 한국어와문학

翁方綱의 경학 연구 방법론

Weng fang-gang(翁方綱)'s Methodology of Studies on Chinese classics

漢文敎育硏究 | 38 | 2012 | 한국어와문학

연천 홍석주의 고증학 비판양상과 그 의미

A crituque style of Yeon Cheon Hong Seok-Joo’s Kho Jeung Science and its implication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 32 | 2011 | 한문비평

峿堂 李象秀 학문의 考證學과 그 성격

The bibliographical study in late Chosun Dynasty with its focus on an academic tendency of Sang-soo Lee

동양한문학연구 | 34 | 34 | 2012 | 한국어와문학

≪北江詩話≫의 考證學 특색

The bibliographical study of Chinese classics feature in The ≪Beijiangshihua≫

중국인문과학 | 48 | 2011 | 중국어와문학

연천 홍석주의 고증학 비판양상과 그 의미

A crituque style of Yeon Cheon Hong Seok-Joo’s Kho Jeung Science and its implication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 32 | 2011 | 한문비평

≪說文解字≫의 수용양상- 淸代 說文學의 성립과 발전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acceptance phase of shuowenjiezi - focus on the evolution of shuowenxue in Qing Dynasty Period

중국문학 | 62 | 2010 | 중국어와문학

≪說文解字≫의 수용양상- 淸代 說文學의 성립과 발전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acceptance phase of shuowenjiezi - focus on the evolution of shuowenxue in Qing Dynasty Period

중국문학 | 62 | | 2010 | 중국어와문학

다산『논어』주석의 고증적 성향 고찰 - 『논어고금주(論語古今註)』를 중심으로 -

A study on Dasan’s research inclination of Noneo KoKumchu 『( 論語古今註』) interpretation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 48 | 2011 | 원불교학

秋史의 「送紫霞入燕十首幷序」攷 -秋史의 近世文學史的 位相 定立을 위하여-

A Study On Chusa' 「Sending Jaha off to the Yan(燕) State, Ten Poems」

한국사상과 문화 | 54 | 2010 | 한국어와문학

秋史의 「送紫霞入燕十首幷序」攷 -秋史의 近世文學史的 位相 定立을 위하여-

A Study On Chusa' 「Sending Jaha off to the Yan(燕) State, Ten Poems」

한국사상과 문화 | | 54 | 2010 | 한국어와문학

臺山의 反擬古論이 지닌 經學的 성격 -考證學에 대한 朱子學的 대응을 중심으로-

Feature as the study of Confucian classics in Daesan's objection to ancient style

동양한문학연구 | 33 | 33 | 2011 | 한국어와문학

秋史의 「送紫霞入燕十首幷序」攷 -秋史의 近世文學史的 位相 定立을 위하여-

A Study On Chusa' 「Sending Jaha off to the Yan(燕) State, Ten Poems」

한국사상과 문화 | 54 | 2010 | 한국어와문학

秋史의 「送紫霞入燕十首幷序」攷 -秋史의 近世文學史的 位相 定立을 위하여-

A Study On Chusa' 「Sending Jaha off to the Yan(燕) State, Ten Poems」

한국사상과 문화 | | 54 | 2010 | 한국어와문학

臺山의 反擬古論이 지닌 經學的 성격 -考證學에 대한 朱子學的 대응을 중심으로-

Feature as the study of Confucian classics in Daesan's objection to ancient style

동양한문학연구 | 33 | 33 | 2011 | 한국어와문학

청대 고증학의 개조 황종희 - 科擧之學 비판과 經學 제창을 중심으로 -

Huang Zongxi(黃宗羲), Originator of the evidential research(考證學) in Qing dynasty : focused on criticism of learning for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科擧之學) and advocacy of classical studies(經學)

양명학 | 32 | 2012 | 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