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성

연구분야 : D100400 공학 > 재료공학 > 복합재료
C010000 자연과학 > 자연과학일반

클래스 : 행위/활동
분해/합체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3356

한자 : 合成
영어 : synthesis

b01-01 행위/활동

b02-05 분해/합체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N1:종류

hasKind (종류)

 

 

색소 합성 [ 色素合成 ]

R1:개념적

isConceptOf (개념(전체))

 

 

합성성 [ 合成性 ]

isProcessOf (과정의 대상)

 

a04-02 재료/부품 재료/부품

합성 섬유 [ 合成纖維 ]

isProcessOf (과정의 대상)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합성 모음 [ 合成母音 ]

isProcessOf (과정의 대상)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합성어 () [ 合成語 ]

초성, 중성, 종성의 자질과 훈민정음

The Relationship between Phonological Features and Hunminjeoneum

國語學 | 57 | 2010 | 한국어와문학

초성, 중성, 종성의 자질과 훈민정음

The Relationship between Phonological Features and Hunminjeoneum

國語學 | | 57 | 2010 | 한국어와문학

애니메이션 입체영상에서 거리감 표현을 위한 패럴렉스(Parallax) 간격 산출에 관한 연구

Study on Parallax Interval for Perspective Effect in 3D Stereoscopic Animation

영상예술연구 | 17 | 2010 | 기타예술체육

애니메이션 입체영상에서 거리감 표현을 위한 패럴렉스(Parallax) 간격 산출에 관한 연구

Study on Parallax Interval for Perspective Effect in 3D Stereoscopic Animation

영상예술연구 | | 17 | 2010 | 기타예술체육

‘X+같다’ 형용사의 논항구조와 의미

The Argument Structure and Meaning of X+katta Adjective

언어와 정보 사회 | 17 | 2012 | 기타언어학

혼성어(混成語) 형성 방식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formation of blends in Korean

國語學 | 58 | 2010 | 한국어와문학

혼성어(混成語) 형성 방식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formation of blends in Korean

國語學 | | 58 | 2010 | 한국어와문학

단어 형성에 관한 대조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Word Formation

한말연구 | 26 | 2010 | 한국어와문학

단어 형성에 관한 대조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Word Formation

한말연구 | | 26 | 2010 | 한국어와문학

자연광원(自然光源) 분석을 통한 Multi- Digital Lighting 적용과 3D-Photo Realism 출력(出力)에 관한 연구

A Study on 3D-Photo Realistic Image Making and Multi-Digital Lighting Application through natural Light analysis

조형미디어학 | 13 | 2 | 2010 | 기타미술

자연광원(自然光源) 분석을 통한 Multi- Digital Lighting 적용과 3D-Photo Realism 출력(出力)에 관한 연구

A Study on 3D-Photo Realistic Image Making and Multi-Digital Lighting Application through natural Light analysis

조형미디어학 | 13 | 2 | 2010 | 기타미술

디지털 실사영화와 3D애니메이션의 핍진성 연구

A study on the verisimilitude of digital cinematography and 3D animation film

기초조형학연구 | 12 | 5 | 2011 | 예술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