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지도

연구분야 : B160300 사회과학 > 지리학 > 자연지리학

클래스 : 교재/재료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336

한자 : 古地圖
영어 : old maps
일본어 : 古地図

a04-03 교재·자료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a04-03 교재·자료 교재/재료

지도 [ 地圖 ]

N1:종류

hasKind (종류)

 

a04-03 교재·자료 교재/재료

군현 지도 [ 郡縣地圖 ]

N3:사례

hasInstance (사례)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동여비고 [ 東輿備考 ]

hasInstance (사례)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여지도 [ 輿地圖 ]

hasInstance (사례)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영남 지도 [ 嶺南地圖 ]

hasInstance (사례)

 

y02-05 지도명 지도명

동래고지도 () [ 東萊古地圖 ]

hasInstance (사례)

 

y02-05 지도명 지도명

해동지도 () [ 海東地圖 ]

hasInstance (사례)

 

y02-05 지도명 지도명

해동여지도 [ 海東輿地圖 ]

hasInstance (사례)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동여도 [ 東輿圖 ]

hasInstance (사례)

 

y02-05 지도명 지도명

동국 여도 [ 東國輿圖 ]

hasInstance (사례)

 

y02-05 지도명 지도명
y02-05 지도명 /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대동여지도 [ 大東輿地圖 ]

hasInstance (사례)

 

y02-05 지도명 지도명

광여도 [ 廣輿圖 ]

hasInstance (사례)

 

y02-05 지도명 지도명

팔도 지도 [ 八道地圖 ]

hasInstance (사례)

 

y02-05 지도명 지도명

조선 지도 [ 朝鮮地圖 ]

기장지역 고지도와 옛길

The Old Maps and Old roads of Gijang Area

지방사와 지방문화 | 13 | 1 | 2010 | 역사학

기장지역 고지도와 옛길

The Old Maps and Old roads of Gijang Area

지방사와 지방문화 | 13 | 1 | 2010 | 역사학

목판본 『대동여지도』와 『청구도』의 지명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Place Names on 「Daedongyeo-jido」 and 「Cheonggu-do」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16 | 3 | 2010 | 지리학

목판본 『대동여지도』와 『청구도』의 지명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Place Names on 「Daedongyeo-jido」 and 「Cheonggu-do」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16 | 3 | 2010 | 지리학

옛길을 활용한 성년례의 활성화 방안 연구 - 신문왕로를 중심으로 -

A study of ways to vitalize of the coming-of-age ceremony by making use of an old street - around Sinmunwangno

한민족문화연구 | 32 | 2010 | 한국어와문학

옛길을 활용한 성년례의 활성화 방안 연구 - 신문왕로를 중심으로 -

A study of ways to vitalize of the coming-of-age ceremony by making use of an old street - around Sinmunwangno

한민족문화연구 | | 32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중·일 고지도에 표현된 이어도 해역 인식

The Recognition of Leodo Waters Represented in Korean, Chinese and Japanese Old Maps

국토지리학회지 | 45 | 4 | 2011 | 지리학

디지털 동여도 데이터베이스 구축과 웹기반 고지도 서비스

Building Database with Digital Dongyeo and Web-based Old Map Service

문화역사지리 | 24 | 1 | 2012 | 인문지리학

고지도를 통해 본 한・중・일 경계인식의 변화

The study of changes in the boundaries of perception of the Korea, China, Japan, to notice also seen through old maps

한일관계사연구 | 39 | 2011 | 역사학

조선 후기 울릉도의 搜討 기록에서 나타난 부속 도서 지명 연구

A Study on Routes of Exploration in Ulleung-do and Place Names of Affiliated Islands in Late-Joseon Period

문화역사지리 | 23 | 2 | 2011 | 인문지리학

한국의 전통지리 풍수의 재현물로서 고지도

The Korean Old Map as the Representation of the Korean Traditional Geography Fengshui

문화역사지리 | 23 | 3 | 2011 | 인문지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