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집살이

연구분야 : C120101 자연과학 > 생활과학 > 가족학 > 가족관계

클래스 : 행위/활동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33639

한자 : 媤--
영어 : be hard on one's daughter-in-law

b01-01 행위/활동

행위대상(자)

며느리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hasPhenomenon (현상)

 

c03-03 문화/생활 문화/생활

고부 갈등 () [ 姑婦葛藤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시집살이 노래

여성은 어떻게 이야기 하는가 :시집살이 이야기를 통해서 본 여성 서사 분석

How Do Women Tell Their Stories? :An analysis of women's narratives through stories abouthard married life in patrilocal residence.

구비문학연구 | 32 | 2011 | 한국어와문학

여성 생애담에 나타난 고난의 의미화 방식 연구 -호남지역 공방살이 이야기를 중심으로-

A Study on Ways of Signifying HardshipsShowed in Self Narrative

구비문학연구 | 32 | 2011 | 한국어와문학

<시어머니 길들인 며느리> 설화에 반영된 현실과 극복의 문제 -실제 시집살이 체험담과 비교를 중심으로-

Problems of Reality and Overcoming Reflected in Daughter-in-law Taming Mother-in-law Tale- focused on a comparison with the actual stories of Sijipsari -

구비문학연구 | 31 | 2010 | 한국어와문학

<시어머니 길들인 며느리> 설화에 반영된 현실과 극복의 문제 -실제 시집살이 체험담과 비교를 중심으로-

Problems of Reality and Overcoming Reflected in Daughter-in-law Taming Mother-in-law Tale- focused on a comparison with the actual stories of Sijipsari -

구비문학연구 | | 31 | 2010 | 한국어와문학

시집살이담의 유형과 전승 양상 -경상도 자료를 중심으로-

Types and Transmission Aspects about Sijipsali(시집살이)-Narrative

시학과 언어학 | 20 | 2011 | 기타인문학

시집살이담의 갈등양상과 갈등의수용방식을 통해 본 시집살이의 의미

The Case of Confliction in Living with In-Lawsand The Implication via Conflict Resolution

구비문학연구 | 32 | 2011 | 한국어와문학

시집살이 이야기와 시집살이 노래의 비교:경험담, 노래, 전승담의 서술방식을 중심으로

Comparison between Story and Song about Sizipsari:Focused on narrating method of the actual narrative,the narrative song and the fictional narrative

구비문학연구 | 32 | 2011 | 한국어와문학

시집살이담의 담화적 특성과 의의 ―‘가슴 저린 기억’에서 만나는 문학과 역사―

Features of Married Life Stories and Their Significance -Literature and history met with ‘heart aching memories’-

구비문학연구 | 32 | 2011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