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녀

연구분야 : A020109 인문학 > 역사학 > 역사일반 > 여성사(역사학)

클래스 : 인간(성별)
인간(직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3393

한자 : 海女

a01-02-01 인간(성별)

성별3

여자

a01-06-01 인간(직업)

성별

여자

연령

[연령구분없음]

직업분류(군)

농림어업종사자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잠수 [ 潛嫂 ]

UF (비우선어)

 

 

잠녀 [ 潛女 ]

R1:개념적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해녀 노 젓는 소리 [ 海女 櫓-- ]

RT (관련어)

기원지

x01-03 도시/구/동명 도시/구/동명

제주특별자치도 [ 濟州特別自治道 ]

RT (관련어)

기원행사

 

잠수굿

R2:기능적

hasMethod (방법/기법)

 

 

나잠어법

초도의 마을어업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mmunity-based Fishery in Chodo

한국도서연구 | 22 | 4 | 2010 | 지역학

초도의 마을어업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mmunity-based Fishery in Chodo

한국도서연구 | 22 | 4 | 2010 | 지역학

문화유산으로서 제주해녀의 관광자원 선택속성, 영향인식 차이에 관한 연구 - 관광객과 지역주민 간 비교를 중심으로 -

A Study on Differences of Selection Attributes & Perceptions between Residents and Travelers regarding Woman Divers as the Cultural Heritage in Jeju

탐라문화 | 37 | 2010 | 기타인문학

문화유산으로서 제주해녀의 관광자원 선택속성, 영향인식 차이에 관한 연구 - 관광객과 지역주민 간 비교를 중심으로 -

A Study on Differences of Selection Attributes & Perceptions between Residents and Travelers regarding Woman Divers as the Cultural Heritage in Jeju

탐라문화 | | 37 | 2010 | 기타인문학

기름유출사고가 해녀공동체에 미친 사회영향 -태안 구포리 해녀공동체를 중심으로

Social Impact of Hebei Spirit’s Oil Spill Incident on Haenyeo : Focusing on the Haenyeo community in the area of Gupori in Taean-gun

『도서문화』 | 39 | 2012 | 기타인문학

해방 전후 제주 잠수(해녀)들의 부산 정착의사회사적 고찰 : 지역 간 경계를 넘은 이동과 갈등을 중심으로

Social History of Settlement in Busan of Jamsu(Women-divers) from Jeju around 1945: Movements and Conflicts across Local Borders

탐라문화 | 37 | 2010 | 기타인문학

해방 전후 제주 잠수(해녀)들의 부산 정착의사회사적 고찰 : 지역 간 경계를 넘은 이동과 갈등을 중심으로

Social History of Settlement in Busan of Jamsu(Women-divers) from Jeju around 1945: Movements and Conflicts across Local Borders

탐라문화 | | 37 | 2010 | 기타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