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 문화

연구분야 : B160205 사회과학 > 지리학 > 인문지리학 > 문화지리
B179900 사회과학 > 지역개발 > 기타지역개발

클래스 : 문화/생활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3417

한자 : 海洋 文化
영어 : marine culture

c03-03 문화/생활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c03-03 문화/생활 문화/생활

문화 () [ 文化 ]

B2:전체

isComponentOf (전체-정체성유지)

 

c03-03 문화/생활 문화/생활

해양 민속 [ 海洋 民俗 ]

N1:종류

hasKind (종류)

 

c03-03 문화/생활 문화/생활

도서 해양 문화 () [ 島嶼海洋文化 ]

hasKind (종류)

 

c03-03 문화/생활 문화/생활

도서 문화 [ 島嶼 文化 ]

N2:부분

hasComponent (구성요소)

 

c03-03 문화/생활 문화/생활

해양 신앙 [ 海洋信仰 ]

R1:개념적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섬관광 [ --觀光 ]

현행 중학교 국사교과서의 고‧중세시기 문화교류 내용 서술과 분석

Analysis of cultural exchanges in the ancient and medieval Ages described in the current middle school textbooks of the korean history

동국사학 | 48 | 2010 | 역사학

현행 중학교 국사교과서의 고‧중세시기 문화교류 내용 서술과 분석

Analysis of cultural exchanges in the ancient and medieval Ages described in the current middle school textbooks of the korean history

동국사학 | | 48 | 2010 | 역사학

최덕원의 다도해 민속 연구의 의의

The Significance of Folk Research on the Archipelago by Choi, Dukwon

『도서문화』 | 38 | 2011 | 기타인문학

다도해의 문화적 다양성과 사회문화적 네트워크

Cultural Diversity and Sociocultural Network of the Archipelago

『도서문화』 | 39 | 2012 | 기타인문학

새만금해역의 해양문화와 문물교류

Maritime Culture and Cultural Exchange around the Saemangeum Sea

『도서문화』 | 39 | 2012 | 기타인문학

16世紀以來基隆在東亞海運中的地位與城市發展

The Role of Keelung Harbor City in East Asia’navigation and City Development since 16th century

인천학연구 | 1 | 14 | 2011 | 기타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