元나라의 耽羅 통치와 移住, 그리고 자취
元朝对耽羅的統治與人口遷徙的歷史遺跡
중국사연구 |
76 |
2012 |
동양사
여몽 관계의 성격과 동아시아의 국제관계 - 중국 학계의 '책봉과 조공' 관계 연구의 한계와 문제점을 중심으로
Characteristic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Goryeo and the Mongols, and the International Order in East Asia: The Limits of “Investiture-Tribute” Relations in Studies on China
동북아역사논총 |
35 |
2012 |
역사학
조선후기 제주거주 몽골 후손들의 사회적 지위와 변화 -호적중초에 보이는 본관명 大元 가문의 사례분석-
The social position and changes of mongolia posterity who were reside Jeju in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 The case analysis of Bongwan(family origin) ‘daewyon’ listed in Hojeokjungcho -
지방사와 지방문화 |
13 |
2 |
2010 |
역사학
조선후기 제주거주 몽골 후손들의 사회적 지위와 변화 -호적중초에 보이는 본관명 大元 가문의 사례분석-
The social position and changes of mongolia posterity who were reside Jeju in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 The case analysis of Bongwan(family origin) ‘daewyon’ listed in Hojeokjungcho -
지방사와 지방문화 |
13 |
2 |
2010 |
역사학
고유 지명에 대한 어원 고찰
A Study on the Etymology of Korean Names
언어학 연구 |
16 |
2010 |
기타언어학
고유 지명에 대한 어원 고찰
A Study on the Etymology of Korean Names
언어학 연구 |
|
16 |
2010 |
기타언어학
元代 아스人(Asud)의 擡頭와 政治的 役割
元代阿速人(Asud)的抬头与政治作用
동양사학연구 |
120 |
2012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