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탈

연구분야 : A080000 인문학 > 불교학

클래스 : 상태/상황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3444

STNet ID : 9001752

한자 : 解脫

c03-01 상태/상황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2:전체

isComponentOf (전체-정체성유지)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불교 사상 [ 佛敎思想 ]

N1:종류

hasKind (종류)

 

 

장진해탈 [ 障盡解脫 ]

hasKind (종류)

 

 

성정해탈 [ 性淨解脫 ]

hasKind (종류)

 

 

무위해탈 [ 無爲解脫 ]

hasKind (종류)

 

 

유위 해탈 [ 有爲解脫 ]

R1:개념적

isConceptOf (개념(전체))

 

d01-04 개념(정의) 개념(정의)

육자진언 [ 六字眞言 ]

isConceptOf (개념(전체))

 

d01-04 개념(정의) 개념(정의)

아트만 [ātman]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인도 고대 철학 [ 印度古代哲學 ]

isPurposeOf (목적의 대상)

 

y06-03 학파/종파명 학파/종파명

소승불교 () [ 小乘佛敎 ]

쉬바파 『뿌라나』에 나타나는 종교사상과 의례의 성격 -『쉬바뿌라나』를 중심으로-

The Characteristics of Religious Thoughts And Rituals of Śaivism in Śiva Purāņa

남아시아연구 | 17 | 3 | 2012 | 지역학

Karma-yoni 개념의 상키야 철학적 적용과 유래

Application and Origin of Sāṃkhya Philosophy on the Concept of Karma-yoni

인도철학 | 34 | 2012 | 철학

김수영 시에 나타난 ‘죽음’의 문제 연구

A Study on the Death Problem in Kim Su‐yeong’s Poems

인문과학연구 | 32 | 2012 | 기타인문학

『브라흐마 수뜨라 주석』에서 논증의 유형과 함의

Types and Implications of Argumentin Brahmasūtra-bhāṣyam

철학연구 | 114 | 2010 | 철학

『브라흐마 수뜨라 주석』에서 논증의 유형과 함의

Types and Implications of Argumentin Brahmasūtra-bhāṣyam

철학연구 | 114 | | 2010 | 철학

유교와 불교의 효사상

Hyo[孝] Thought of Confucianism and the Buddhism

동아시아불교문화 | 7 | 2011 | 지역불교및불교사연구

중기 우빠니샤드에 나타난 명상의 의미

The Concept of Yoga(meditation) Presented in the Medieval Upaniṣads

한국교수불자연합학회지 | 16 | 1 | 2010 | 응용불교학

중기 우빠니샤드에 나타난 명상의 의미

The Concept of Yoga(meditation) Presented in the Medieval Upaniṣads

한국교수불자연합학회지 | 16 | 1 | 2010 | 응용불교학

칸트의 二元論과 나가르주나의 二諦說 연구

Investigation on the comparision between Kant's dualism and Nagarjuna's two types of truths

동아시아불교문화 | 8 | 2011 | 지역불교및불교사연구

사무량심의 ‘해탈도’적 성격 고찰 초기불교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haracter of Liberating Path of the Four Immeasurables -Focused on Early Buddhism

불교연구 | 32 | 2010 | 불교학

사무량심의 ‘해탈도’적 성격 고찰 초기불교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haracter of Liberating Path of the Four Immeasurables -Focused on Early Buddhism

불교연구 | | 32 | 2010 | 불교학

깔리다싸(Kālidāsa)의 서정시에 나타난 비유 고찰_인도철학적인 의미를 중심으로

Study on Metaphor Reflected in Kālidāsa's Lyrical Poems :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Meaning of Indian Philosophy

인도철학 | 28 | 2010 | 철학

깔리다싸(Kālidāsa)의 서정시에 나타난 비유 고찰_인도철학적인 의미를 중심으로

Study on Metaphor Reflected in Kālidāsa's Lyrical Poems :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Meaning of Indian Philosophy

인도철학 | | 28 | 2010 | 철학

불성사상의 수용과 조사선의 형성

Adoption of Buddha-nature and formation of Patriarch-seon in seon-sects

불교학연구 | 32 | 2012 | 불교학

아함에 나타난 부정관과 번뇌의 관계

On The Relation between The Aśubha bhāvanā(不淨觀) and The Kliṣṭa(煩惱) in Early Buddhism.

보조사상 | 36 | 2011 | 종교학

A Study of Buddhism in Kawabata's Jōjoka

「抒情歌」の研究 -仏教を中心に-

일본연구 | 29 | 2010 | 일본어와문학

A Study of Buddhism in Kawabata's Jōjoka

「抒情歌」の研究 -仏教を中心に-

일본연구 | | 29 | 2010 | 일본어와문학

‘마음’을 통한 한용운 문학의 불교해석학적 고찰

The Analytic Study of Han YongWoon's Literature by 'Mind'

한국시학연구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마음’을 통한 한용운 문학의 불교해석학적 고찰

The Analytic Study of Han YongWoon's Literature by 'Mind'

한국시학연구 |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