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민지기 경남 지역사회의 탈춤 ‘부흥’ 운동과 주도자들 ― 동래 야류 연행의 문화정치학
A Study of Performance History of Dongrae Mask Dance Drama under Japanese Colonial Rule, 1910-45 and its Cultural Politics
대동문화연구 |
79 |
2012 |
기타인문학
18~19세기 감영소재지의 인구구성과 향리층의 존재양상 ―경상도 대구부 동상면을 중심으로
Population Composition and Existence Patterns of Hyangri in the Site of a Governor's Office in the 18th~19th Century : With a focus on Daegu, Gyeongsang Province
대동문화연구 |
71 |
2010 |
기타인문학
18~19세기 감영소재지의 인구구성과 향리층의 존재양상 ―경상도 대구부 동상면을 중심으로
Population Composition and Existence Patterns of Hyangri in the Site of a Governor's Office in the 18th~19th Century : With a focus on Daegu, Gyeongsang Province
대동문화연구 |
|
71 |
2010 |
기타인문학
蔚山府先生案의 체제와 성격
Ulsan-bu Seon'saeng-an(蔚山府先生案): Structure and Nature
古文書硏究 |
36 |
2010 |
역사학
蔚山府先生案의 체제와 성격
Ulsan-bu Seon'saeng-an(蔚山府先生案): Structure and Nature
古文書硏究 |
36 |
|
2010 |
역사학
17세기 경주 유향소의 위상: 경주이씨 양월문중 소장 고문서의 분석
The Status of Gyongju Yuhyangso in 17th Century: Analyzing the Old Documents in the Yangwol Family of Gyongju Yi Clan
古文書硏究 |
41 |
2012 |
역사학
조선시대 賜牌의 발급과 문서양식
A Study on Issuing of Sapae and the Styles of Document in Joseon Dynasty
古文書硏究 |
41 |
2012 |
역사학
高麗時代梵鍾의 發願階層과 鑄鍾匠人
Goryeo Buddhist Temple Bells and Their Patrons and Makers
동악미술사학 |
13 |
2012 |
기타예술체육
신재효 판소리 사설에 나타난 관(官)․민(民) 의식과 사회적 지향
Consciousness of the Government and the People and Social Aim Shown in Pansori Literature by Sin Jae-Hyo
한국언어문학 |
82 |
2012 |
한국어와문학
장흥 탐진강유역 고려석곽묘 연구 -하방촌유적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tone-lined Tombs of Goryeo in the Tamjin River Basin, Jang-Heung: with an emphasis on the Habang-chon site
호남고고학보 |
36 |
2010 |
역사학
장흥 탐진강유역 고려석곽묘 연구 -하방촌유적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tone-lined Tombs of Goryeo in the Tamjin River Basin, Jang-Heung: with an emphasis on the Habang-chon site
호남고고학보 |
36 |
|
2010 |
역사학
19세기 중반 동래 지역 기영회 결성과 그 역사적 의미
The Organization of Gyeyoungheoi and the Meaning of Historic in Dongnae County in the mid-19th Century
역사와경계 |
83 |
2012 |
역사학
단성민란과 향리층의 지속과 변동
A Study on the Danseong Revolt and the Continuance and Changes of the Hyangni Class
대동문화연구 |
79 |
2012 |
기타인문학
조선후기 울산 鶴城李氏 가계의 향리 이탈과 사족화 – 향리 위상의 변동과 관련하여 -
Transformation of the Ulsan Area's Hakseong Yi House(鶴城李氏) Members: Their Escape from the Local "Hyang'ri" Clerk status, and their transformation into "Sajok" figures, in the latter half period of Joseon - Alteration in the Status of the Local Hyang'ri beings -
古文書硏究 |
40 |
2012 |
역사학
조선 초기 향리의 지위와 신분
The Status of Hyang-Ri(鄕吏) during the Early Joseon Dynasty
진단학보 |
110 |
2010 |
역사학
조선 초기 향리의 지위와 신분
The Status of Hyang-Ri(鄕吏) during the Early Joseon Dynasty
진단학보 |
|
110 |
2010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