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역 의무

연구분야 : B080700 사회과학 > 사회학 > 의료/복지/사회정책
B130201 사회과학 > 법학 > 공법 > 헌법

클래스 : 사회제도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35682

한자 : 兵役義務

d02-01 사회제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국방의 의무 [ 國防--義務 ]

R1:개념적

hasIssue (이슈/주제)

 

c03-05 정치/국제 정치/국제

이중 국적 () [ 二重國籍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c03-01 상태/상황 상태/상황

이중국적문제 [ 二重國籍問題 ]

isPurposeOf (목적의 대상)

 

a01-06-01 인간(직업) 인간(직업)

의무 경찰 () [ 義務警察 ]

한국군에 있어서 병역의무 이행에 관한 철학적 논의와 병역정책의 발전

Philosophical Discussion on the Execution of Military Service in Republic of Korea Army and the Development of Military Service Policy

한국동북아논총 | 16 | 4 | 2011 | 사회과학일반

복수국적과 병역의무: 쟁점 및 조화방안

Multiple Citizenship and Military obligations: Issues and Remidies

민족연구 | 47 | 2011 | 기타사회과학

군가산점제 재도입, 헌법적ㆍ정책적으로 타당한가? ╶ 군복무에 대한 합리적 지원방안의 필요성╶

On the Constitutional and Political Validity of Reintroducing of the Preferential Points for Soldiers - Rational Rewards for the Compulsory Military Service -

공법연구 | 40 | 2 | 2011 | 법학

군가산점제도 재도입 문제: 공정한 사회를 위하여

A study on Re-introducing the Incentives System for Military Service: For the Justice of Korean Society

한국정치외교사논총 | 33 | 1 | 2011 | 정치외교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