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모양처

연구분야 : A030112 인문학 > 철학 > 철학일반 > 여성철학
C120101 자연과학 > 생활과학 > 가족학 > 가족관계
B110500 사회과학 > 인류학 > 친족및혼인

클래스 : 인간(친족관계)
인간(성향)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3611

한자 : 賢母良妻
영어 : good wife and wise mother

a01-03-01 인간(친족관계)

a01-05-03 인간(성향)

성별

여자

연령

[연령구분없음]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현처 양모 [ 賢妻良母 ]

UF (비우선어)

 

 

양처 현모 [ 良妻賢母 ]

R1:개념적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현모 양처론 [ 賢母良妻論 ]

N3:사례

hasInstance (사례)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신사임당 [ 申師任堂 ]

이선희 소설에 나타난 젠더의식 연구

A study on gender consciousness in Lee Sun-Hee's novels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4 | 3 | 2010 | 한국어와문학

이선희 소설에 나타난 젠더의식 연구

A study on gender consciousness in Lee Sun-Hee's novels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4 | 3 | 2010 | 한국어와문학

『新靑年』에 나타난 여성 담론 연구

『新靑年』的女性話語硏究

중국사연구 | 67 | 2010 | 동양사

『新靑年』에 나타난 여성 담론 연구

『新靑年』的女性話語硏究

중국사연구 | | 67 | 2010 | 동양사

식민지 초기 신여성의 공적영역으로의 초대와 그 실재: 문학의 장에서의 일세대 여성작가의 배제를 중심으로

The Walled Reality behind the Discourse of Expanding Public Sphere for New Women in the Early Colonial Period: Cases of Excluded Female Writers in the Literary Field

사회와역사(구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 | 88 | 2010 | 사회학

식민지 초기 신여성의 공적영역으로의 초대와 그 실재: 문학의 장에서의 일세대 여성작가의 배제를 중심으로

The Walled Reality behind the Discourse of Expanding Public Sphere for New Women in the Early Colonial Period: Cases of Excluded Female Writers in the Literary Field

사회와역사(구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 | | 88 | 2010 | 사회학

한국 근대회화에 표현된 부부(夫婦) 이미지

Husbands and Wives Images in Korean Modern Paintings

열린정신 인문학 연구 | 12 | 2 | 2011 | 기타인문학

다무라 도시코(田村俊子)の 『그녀의 생활(彼女の生活)』론

“Kanozyo no Seikatsu” by Toshiko Tamura

일본근대학연구 | 28 | 2010 | 일본문화학

다무라 도시코(田村俊子)の 『그녀의 생활(彼女の生活)』론

“Kanozyo no Seikatsu” by Toshiko Tamura

일본근대학연구 | | 28 | 2010 | 일본문화학

일제강점기 조선영화에 나타난 가족 이데올로기 연구-<미몽><지원병><조선해협>의 여성 이미지를 중심으로-

A Study of Family Ideology in Korean Cinema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Focusing on female image in Sweet Dream (Mimong), Volunteer (Ji―wonbyeong), and Straits of Joseon (Joseonhaehyeob)

한민족문화연구 | 37 | 2011 | 한국어와문학

숙명여고보 맹휴사건으로 본 식민지 여성교육

Colonial Women Education Seen by the Student Strike of Sookmyung Women’s School

한국독립운동사연구 | 37 | 2010 | 역사학

숙명여고보 맹휴사건으로 본 식민지 여성교육

Colonial Women Education Seen by the Student Strike of Sookmyung Women’s School

한국독립운동사연구 | | 37 | 2010 | 역사학

1930年代上海‘新女性談論’의 企劃 -『申報』와 『晨報』의 영화평과 독자평을 중심으로-

1930年代上海“新女性談論”的企劃 -以『申报』, 『晨报』的影评以及读者评为中心-

중국사연구 | 70 | 2011 | 동양사

식민지시기 ‘현모양처’론과 ‘모더니티’ 문제

"Modernity" and the Idea of “Wise Mother and Good Wife” in the Colonial Korea

사학연구 | 99 | 2010 | 역사학

식민지시기 ‘현모양처’론과 ‘모더니티’ 문제

"Modernity" and the Idea of “Wise Mother and Good Wife” in the Colonial Korea

사학연구 | | 99 | 2010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