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연

연구분야 : B110500 사회과학 > 인류학 > 친족및혼인

클래스 : 인간(친족관계)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3647

한자 : 血緣
영어 : blood relation

a01-03-01 인간(친족관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2:전체

BT (상위어)

 

 

인연 [ 因緣 ]

N1:종류

hasKind (종류)

 

a01-03-01 인간(친족관계) 인간(친족관계)

친족 [ 親族 ]

hasKind (종류)

 

a01-04-06 공동체 공동체

가족 () [ 家族 ]

R1:개념적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정실주의 [ 情實主意 ]

RT (관련어)

 

a01-03-01 인간(친족관계) 인간(친족관계)

사회적 친자관계 () [ 社會的親子關係 ]

CLT:참조용어

isPropertyOf (특성의 대상)

 

a01-04 인간(사회집단) 인간(사회집단)

기초 집단 [ 基礎集團 ]

isPropertyOf (특성의 대상)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씨족 정치 [ 氏族政治 ]

isPropertyOf (특성의 대상)

 

a01-04-06 공동체 공동체

가문 [ 家門 ]

이상의 육친(肉親) 시편과 수필에 내포된 ‘연민’의 복합적 성격

A Complex Character of the Pity in the Blood Relative Poetry and Essays of Lee Sang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6 | 3 | 2012 | 한국어와문학

도망노비에 대한 새로운 시선

New View about Escaped Slaves

전북사학 | 40 | 2012 | 역사학

제정일치적 天降관념의 신라적 변용 ─인도 아쇼까왕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The Acculturation of the Theocratic Idea of “Descended from Heaven”(天降)in Silla ─Focused on a Comparison with King Aśoka in India

불교학연구 | 32 | 2012 | 불교학

가족관계 형성에서 혈연이 가지는 의미

A Study on the Meaning of Blood Tie in Establishing the Family Relation

인권과 정의 | 406 | 2010 | 법학

가족관계 형성에서 혈연이 가지는 의미

A Study on the Meaning of Blood Tie in Establishing the Family Relation

인권과 정의 | | 406 | 2010 | 법학

혈연을 뛰어넘는 정: 김중미의 『괭이부리말 아이들』과 드언왓 핌와나의 『너무나도 행복한』(태국)

Human nature beyond a blood relative: Kim Jung-Mi's Children lived in Gweonguiburi town and Duanwat Phimwana's Being Happy

인문사회과학연구 | 12 | 1 | 2011 | 기타인문학

베이비붐 세대의 농촌이주 결정요인 분석

The Analysis on Determinants of Rural Area Migration of Baby Boom Generation

국토연구 | 64 | 2010 |

베이비붐 세대의 농촌이주 결정요인 분석

The Analysis on Determinants of Rural Area Migration of Baby Boom Generation

국토연구 | 64 | | 2010 |

구비 설화에 나타난 가족 재생산과 혈연 문제

Family Reproduction and Blood Relationshipin Oral Folktales

구비문학연구 | 31 | 2010 | 한국어와문학

구비 설화에 나타난 가족 재생산과 혈연 문제

Family Reproduction and Blood Relationshipin Oral Folktales

구비문학연구 | | 31 | 2010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