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식

연구분야 :

클래스 : 모형/기준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3674

한자 : 形式
영어 : form

E02 모형/기준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N1:종류

hasKind (종류)

 

 

[R] 한시 형식 () [ 漢詩型式 ]

hasKind (종류)

 

 

투식 () [ 套式 ]

hasKind (종류)

 

A04 인공물 인공물

영화 형식 [ 映畵形式 ]

hasKind (종류)

 

 

문학 형식 [ 文學形式 ]

R1:개념적

isSubjectIn (주제분야의 대상)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형식주의 () [ 形式主義 ]

isSubjectIn (주제분야의 대상)

관련어

c01-02 기질/품질/형질/성향 기질/품질/형질/성향

형식성 [ 形式性 ]

R2:기능적

hasOpposition (대항/억제)

 

E01 유형/양식/장르 유형/양식/장르

내용 [ 內容 ]

CLT:참조용어

isPropertyOf (특성의 대상)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법규명령 [ 法規命令 ]

1910년 ‘한일병합조약’ 체결강제의 역사적 진실규명과 국제법적 조명

Considerations of the Korea-Japan Annexation Treaty from the Viewpoint of Historical Truth and International Law

국제법학회논총 | 55 | 4 | 2010 | 법학

1920년대 김기진 비평에서 ‘감각’의 의미

‘Sensation’ and Kim, Gi-jin’s Criticisms in 1920s

비평문학 | 39 | 2011 | 한국어와문학

칸트 윤리학에서 실천 명제의 논리적 형식

Logical forms of the practical thesis in Kant's ethics

철학논집 | 25 | 2011 | 철학

한국어 교육 문법의 체계와 내용 범주

A Study on the System and Categories of the Pedagogical Grammar in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우리말연구 | 26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어 교육 문법의 체계와 내용 범주

A Study on the System and Categories of the Pedagogical Grammar in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우리말연구 | | 26 | 2010 | 한국어와문학

형식과 내용의 변증법 -내적인 것과 외적인 것의 본질적인 관계를 중심으로-

Die Dialektik von Form und Inhalt -In bezug auf das wesentliche Verhältnis von Innerem und Äußerem-

헤겔연구 | 31 | 2012 | 철학

杜谷 高應陟의 시조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Doogok(杜谷) Ko, Eung-cheok(高應陟)'s Sijo

시조학논총 | 35 | 2011 | 한국어와문학

일본의 ‘和魂洋才’가 갖는 근대화방법론의 重層的 특징

Multi-layered Characteristics of Modernization Methodology of 'Wa kon yō sai(和魂洋才)' of Japan

대동문화연구 | 70 | 2010 | 기타인문학

일본의 ‘和魂洋才’가 갖는 근대화방법론의 重層的 특징

Multi-layered Characteristics of Modernization Methodology of 'Wa kon yō sai(和魂洋才)' of Japan

대동문화연구 | | 70 | 2010 | 기타인문학

한국어교재에서 경어법 제시 방식에 대한 비교 분석 -중국어판 교재를 중심으로-

Comparative analysis on Presentation methods of honorifics in Korean teaching Materials -Focusing on Chinese written versions-

한중인문학연구 | 32 | 2011 | 한국어와문학

현대 예술에서 ‘양식’ 개념의 의미와 의의

The Meaning and Significance of ‘Style’ in Contemporary Arts

미학예술학연구 | 34 | 2011 | 기타예술체육

일본의 전통적 ‘심정’과 서구의 근대적 ‘형식’의 만남 — 근대 일본에서 ‘國學’ 이념의 이중성 —

The meeting of Japan's traditional 'feeling' and Western modern ' formality' - Duplicity of 'Kokgak (Culture and Heritage)' in the Modern Japan

동양철학연구 | 68 | 2011 | 철학

예치주의의 형식성을 통해 본 동아시아의 근대성 검토-서구 법치주의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ast Asian Modernity through the Formality of the Rule of Manners-Comparison with the Western Rule of Law-

시대와 철학 | 23 | 1 | 2012 | 철학

진안 진그늘유적의 슴베찌르개 연구 –제작기법, 형식, 크기를 중심으로–

Analysis on Technique, Typology and Measurement of Tanged Point from the Jingeuneul Prehistoric Site in Korea

한국상고사학보 | 73 | 73 | 2011 | 역사학

한국지리 발전방안 마련을 위한 국외 8개국 지리지에 대한 분석

An analysis on the Regional Geographies of Eight Countries for Improving ‘the Geography of Korea’

대한지리학회지 | 47 | 1 | 2012 | 지리학

(有蓋)臺附把手附小壺考

A Study on the Mounted Small Jar with Handle and Cover

한국고고학보 | 76 | 2010 | 역사학

(有蓋)臺附把手附小壺考

A Study on the Mounted Small Jar with Handle and Cover

한국고고학보 | | 76 | 2010 | 역사학

閭巷文人畵家들의 근대지향성과 19세기 文人畵의 재검토

The modernity-oriented trend of the middle-class literati and painters and the reexamination of the literary paintings of the 19th century

기초조형학연구 | 12 | 3 | 2011 | 예술일반

성리학에서 ‘형식’의 문제 − 朱子 성리학을 중심으로 −

性理学中“形式”的问题

동양철학연구 | 65 | 2011 | 철학

분류 기준에서 본 주시경 품사 체계의 변천에 대하여

On the Change of System of Ju Si-Kyeong's Parts of Speech focusing on Classification Criteria

國語學 | 63 | 2012 | 한국어와문학

广告语言中修辞应用的审美形态研究

The Study Of The Language Of Advertising Rhetoric Aesthetic Form

수사학 | 17 | 2012 | 기타인문학

중국 장식문양의 구성요소에 따른 디자인 특성 연구

Research on Design Characteristics of Chinese Decorative Patterns in terms of their Compositional Elements

디자인학연구 | 24 | 3 | 2011 | 디자인

宋王朝 對安南國王 冊封의 形式과 論理

宋王朝对安南国王册封的形式与论理

동양사학연구 | 115 | 2011 | 역사학

시적인 것에 대한 시론(試論)적 고찰-황지우의 시론(詩論)에 기대어

Ontological Investigation of “the Poetical” - Rereading Poetical Essays of Hwang Ji-woo

사이間SAI | 9 | 2010 | 기타국문학

시적인 것에 대한 시론(試論)적 고찰-황지우의 시론(詩論)에 기대어

Ontological Investigation of “the Poetical” - Rereading Poetical Essays of Hwang Ji-woo

사이間SAI | | 9 | 2010 | 기타국문학

섬진강유역 지석묘의 전개과정

Dolmens developed in the Seomjin river

한국상고사학보 | 75 | 75 | 2012 | 역사학

Kant on Form and Content in Cognition: A Reply to McDowell

철학∙사상∙문화 | 10 | 2010 | 기타인문학

Kant on Form and Content in Cognition: A Reply to McDowell

철학∙사상∙문화 | | 10 | 2010 | 기타인문학

Genre Characteristics of the Sijo: Focusing on the Developing and Changing Process

시조의 갈래의 특성: 발달과 변천 과정을 중심으로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 18 | 2 | 2010 | 기타인문학

Genre Characteristics of the Sijo: Focusing on the Developing and Changing Process

시조의 갈래의 특성: 발달과 변천 과정을 중심으로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 18 | 2 | 2010 | 기타인문학

이미지미학으로서 형식미학Ⅰ- 헤어바르트와 침머만을 중심으로

Formale Ästhetik als die Bildästhetik I - Die grundlegenden Ansätze von J. Fr. Herbart und R. Zimmermann

헤세연구 | 25 | 2011 | 독일어와문학

鄭道傳 樂章의 형상적 함의와 시가사적 위상

The Figurative Meanings of the Akjang by Jung DoJeon & the Position of It in the Poetry History

인문학논총 | 15 | 2 | 2010 | 기타인문학

鄭道傳 樂章의 형상적 함의와 시가사적 위상

The Figurative Meanings of the Akjang by Jung DoJeon & the Position of It in the Poetry History

인문학논총 | 15 | 2 | 2010 | 기타인문학

E. 카시러의 관점에서 본 괴테의 직관형식과 예술형식에 관한 연구

A Study about Goethe's aesthetic Forms from Ernst Cassirer's thought

칸트연구 | 29 | 2012 | 철학

The Monstrosity of Form: Patterns in the Yeatsian Lyric

예이츠의 서정시의 수욕적 형식

한국 예이츠 저널 | 37 | 2012 | 영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