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백

연구분야 : A030101 인문학 > 철학 > 철학일반 > 형이상학
A110299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국문학 > 기타국문학
A030201 인문학 > 철학 > 한국철학 > 한국철학일반

클래스 : 개념(정의)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3771

한자 : 魂魄
영어 : the spirit

d01-04 개념(정의)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혼(넋) [ 魂 ]

UF (비우선어)

 

 

R1:개념적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혼백이론

RT (관련어)

 

a01-08 신체 신체

육체 () [ 肉體 ]

음택풍수의 명당발복 설화를 통해 살펴본 우리 풍수문화 -― 인식론적 관점을 중심으로 ―

Korean Feng-shui Culture Examined through Folk Tales Showing the Notion of Grave Feng-shui that Propitious Site Brings a Favorable Change in Fortune

실천민속학 연구 | 15 | 2010 | 역사학

음택풍수의 명당발복 설화를 통해 살펴본 우리 풍수문화 -― 인식론적 관점을 중심으로 ―

Korean Feng-shui Culture Examined through Folk Tales Showing the Notion of Grave Feng-shui that Propitious Site Brings a Favorable Change in Fortune

실천민속학 연구 | 15 | | 2010 | 역사학

조선후기 類書類의 平生儀禮 -『芝峰類設』․『星湖僿說』․ -『松南雜識』를 중심으로-

The rites of passage recorded in Ryuseoryu written during the late Choseon dynasty period -Based on books Jibongyuseol, Seonghosaseol and Songnamjabji-

역사민속학 | 34 | 2010 | 역사학

선불교의 내세관 소고

仙佛教的来世观研究

仙道文化 | 13 | 2012 | 기타철학일반

栗谷 李珥의 死生觀에 관한 연구

A Research on The Yul- Gok's Thought about Death and Life

동양철학연구 | 64 | 2010 | 철학

栗谷 李珥의 死生觀에 관한 연구

A Research on The Yul- Gok's Thought about Death and Life

동양철학연구 | | 64 | 2010 | 철학

혼백론에서 영혼론으로

From Hunbo(魂魄) Theory to Anima Theory

가톨릭신학과사상 | 67 | 2011 | 가톨릭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