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성 호적 인명에 관한 사회 언어학적 고찰
A Social―linguistic Study on Names of Dan―seong Family Register
한민족문화연구 |
36 |
2011 |
한국어와문학
단성 호적 인명에 관한 사회 언어학적 고찰
A Social―linguistic Study on Names of Dan―seong Family Register
한민족문화연구 |
36 |
2011 |
한국어와문학
新聞の株式記事に見られる語彙の通時的考察 -語種を観点として-
Diachronic research on vocabulary of the stocks article in newspaper -The word kind as a viewpoint-
일어일문학 |
46 |
2010 |
일본어와문학
新聞の株式記事に見られる語彙の通時的考察 -語種を観点として-
Diachronic research on vocabulary of the stocks article in newspaper -The word kind as a viewpoint-
일어일문학 |
|
46 |
2010 |
일본어와문학
대구 동상면 호적의 奴名에 관한 고찰 -1684년, 1786년, 1867년-
Study of Slave's name of Family resisters in Daegu Dongsang-myeon -1684, 1786, 1867-
반교어문연구 |
28 |
2010 |
한국어와문학
대구 동상면 호적의 奴名에 관한 고찰 -1684년, 1786년, 1867년-
Study of Slave's name of Family resisters in Daegu Dongsang-myeon -1684, 1786, 1867-
반교어문연구 |
|
28 |
2010 |
한국어와문학
대구 동상면 호적의 奴名에 관한 고찰 -1684년, 1786년, 1867년-
Study of Slave's name of Family resisters in Daegu Dongsang-myeon -1684, 1786, 1867-
반교어문연구 |
28 |
2010 |
한국어와문학
대구 동상면 호적의 奴名에 관한 고찰 -1684년, 1786년, 1867년-
Study of Slave's name of Family resisters in Daegu Dongsang-myeon -1684, 1786, 1867-
반교어문연구 |
|
28 |
2010 |
한국어와문학
中古の文章『枕草子』の混種語について─ 『源氏物語』の混種語と対照して ─
A Contrastive Study on Hybrid in Makuranosoushi and Genjimonogatari of the Latter Heian Period
일본학보 |
86 |
2011 |
일본어와문학
混種語形成과 語種制約
Hybrid Word-Formation and Restrictions on Vocabulary Classes
대동문화연구 |
73 |
2011 |
기타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