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재건 주의

연구분야 :

클래스 :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38182

한자 :
영어 : social reconstructionism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se (우선어)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개조주의 [ 改造主義 ]

다문화 미술교육의 현황과 대안 - 동시대 미술을 통해 ‘타자(他者)’의 목소리 듣기 -

The Current Status of Multicultural Art Education and Its alternative approach: Listening to the Other through Contemporary Art

미술교육논총 | 25 | 3 | 2011 | 미술

다문화 미술교육의 접근 방안 연구

A Study on Approaches to Practice in Multicultural Art Education

미술교육연구논총 | 31 | 0 | 2012 | 예술교육학

아동의 권리, 복지, 평등을 위한 미술교육 - 사회문화예술교육을 통한 미술교육의 맥락적 고찰 -

Art Education for Child Rights, Welfare, and Equity - The Contextual Approach to Art Education Based on the Extended Arts and Culture Education -

조형교육 | 36 | 2010 | 미술교육

아동의 권리, 복지, 평등을 위한 미술교육 - 사회문화예술교육을 통한 미술교육의 맥락적 고찰 -

Art Education for Child Rights, Welfare, and Equity - The Contextual Approach to Art Education Based on the Extended Arts and Culture Education -

조형교육 | | 36 | 2010 | 미술교육

갑오개혁기 교과서에 나타난 교육과정학적 이념 연구 : ‘소학’ 교과서를 중심으로

A study on curriculum ideology appeared in the textbooks of the Kabo reforms period: Focused on 'Sohak' textbooks

교육과정연구 | 29 | 3 | 2011 | 교육학

미술교육과 사회의 만남 - 사회재건주의 재조명을 통한 한국미술교육 고찰 -

Towards Society: Korean Art Education Based on an Investigation of Social Reconstruction

조형교육 | 36 | 2010 | 미술교육

미술교육과 사회의 만남 - 사회재건주의 재조명을 통한 한국미술교육 고찰 -

Towards Society: Korean Art Education Based on an Investigation of Social Reconstruction

조형교육 | | 36 | 2010 | 미술교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