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적

연구분야 : B160100 사회과학 > 지리학 > 지리학일반

클래스 : 완화(감소/축소/쇠퇴)
상태/상황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38462

한자 : 堆積
영어 : sedimentation

b02-01 완화(감소/축소/쇠퇴)

c03-01 상태/상황

원인_t

물질이 중력, 유수, 파도, 연안류, 빙하, 바람 등에 의해 운반됨.

결과_t

운반되어 쌓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퇴적 작용

R1:개념적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x01-05 바다/강/호수명 바다/강/호수명

바람아래 [Baramarae]

isStateOf (상태의 대상)

 

e04-03 자연적공간 자연적공간

갯벌 [wattenmeer]

resultsIn (산물/결과)

 

a03-03 자연(광물) 자연(광물)

퇴적암 [ 堆積岩 ]

resultsIn (산물/결과)

 

e04-03 자연적공간 자연적공간

심해 선상지 [ 深海扇狀地 ]

resultsIn (산물/결과)

 

e04-03 자연적공간 자연적공간

소지형 [ 小地形 ]

RT (관련어)

 

c03-01 상태/상황 상태/상황

침식 [ 浸蝕 ]

항공사진과 기준목 측정자료를 이용한 안면도 바람아래 해빈의 시계열 변화 분석

Time-series Analysis of Baramarae Beach in Anmyeondo Using Aerial Photographs and Field Measurement Data

한국지형학회지 | 18 | 2 | 2011 | 지리학

안면도 할미섬 주변의 침식·퇴적환경 변화 분석

Analysis of Sedimentation and Erosion Environment Change around the Halmi-island, Anmyeondo in West Coast of Korea

한국지형학회지 | 19 | 2 | 2012 | 지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