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적

연구분야 :

클래스 :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38770

한자 : 李尙迪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affects (영향)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김석준 () [ 金奭準 ]

청(淸) 등석여(鄧石如) 서풍의 조선 유입과 이해, 그리고 근대 서단

Introducing and Understanding of Deng Shiru Calligraphic Style from Ching(淸)Dynasty, and Modern Calligraphic Circles

한국근현대미술사학(구 한국근대미술사학) | 23 | 2012 | 미술

조선과 청나라 사신간의 시문교류

The Literary Exchange between Joseon and Ching Envoys

중국학논총 | 35 | 2012 | 중국문화학

우선 이상적의 조청회화교류

Yi Sangjeok's Exchange of Painting with Literati of The Late Qing Period

강좌미술사 | 35 | 2010 | 미술

우선 이상적의 조청회화교류

Yi Sangjeok's Exchange of Painting with Literati of The Late Qing Period

강좌미술사 | | 35 | 2010 | 미술

우선 이상적의 조청회화교류

Yi Sangjeok's Exchange of Painting with Literati of The Late Qing Period

강좌미술사 | 35 | 2010 | 미술

우선 이상적의 조청회화교류

Yi Sangjeok's Exchange of Painting with Literati of The Late Qing Period

강좌미술사 | | 35 | 2010 | 미술

晩淸 人士들이 李尙迪에게 전해 온 無聲의 메시지 - 奉明反淸 意識을 중심으로 -

A Silent Message from Chinese Officials to Lee Sang-Jeok at the End of Qing Dynasty

동양고전연구 | 46 | 2012 | 기타인문학

19세기 朝淸 문인들의 교유 양상 - 藕船 李尙迪의 懷人詩를 중심으로 -

Thy Types of Social Intercourse between Chosun’s Writers and Chings’in 19C - Focused on Heoinsi of Useon Lee Sangjeok -

동양한문학연구 | 32 | 32 | 2011 | 한국어와문학

東崦草堂 石刻의 朝鮮 流入과 李尙迪에 대한 王鴻의 友情

A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the Stone Carving(石刻) of Dong Yan Caotang(東崦草堂) into Joseon and Wang Hong(王鴻)'s Friendship with Lee Sang―Jeok(李尙迪)

한민족문화연구 | 38 | 2011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