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생태학

연구분야 : C071700 자연과학 > 생물학 > 생태학

클래스 : 이론/사상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39038

STNet ID : 9005114

한자 : 文化生態學
영어 : cultural ecology

d01-01 이론/사상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isOriginOf (기원/근원의 대상개념)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신고고학

한국의 水景觀에 대한 전통적 상징 및 지식체계

Traditional Symbol and Knowledge System of Water Landscape in Korea

역사민속학 | 32 | 2010 | 역사학

한국의 水景觀에 대한 전통적 상징 및 지식체계

Traditional Symbol and Knowledge System of Water Landscape in Korea

역사민속학 | | 32 | 2010 | 역사학

지식구조의 변화와 문화생태학의 복원

The Change of the Structure of Knowledge and the Restoration of Cultural Ecology

대동철학 | 53 | 2010 | 철학

지식구조의 변화와 문화생태학의 복원

The Change of the Structure of Knowledge and the Restoration of Cultural Ecology

대동철학 | | 53 | 2010 | 철학

생태문학과 문화생태학 - 문학의 문화생태학적 담론

Literatur der kulturellen Ökologie

독일어문학 | 18 | 4 | 2010 | 독일어와문학

생태문학과 문화생태학 - 문학의 문화생태학적 담론

Literatur der kulturellen Ökologie

독일어문학 | 18 | 4 | 2010 | 독일어와문학

기름유출사고가 해녀공동체에 미친 사회영향 -태안 구포리 해녀공동체를 중심으로

Social Impact of Hebei Spirit’s Oil Spill Incident on Haenyeo : Focusing on the Haenyeo community in the area of Gupori in Taean-gun

『도서문화』 | 39 | 2012 | 기타인문학

마을공동체신앙과 생태민속-하회별신굿의 생태민속학적 해석-

Village Community Religion and Ecological Folklore

비교민속학 | 41 | 2010 | 역사학

마을공동체신앙과 생태민속-하회별신굿의 생태민속학적 해석-

Village Community Religion and Ecological Folklore

비교민속학 | | 41 | 2010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