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인훈 <춘향뎐>의 패러디 담론과 역사 인식
Parodied Discourse of by In-hoon Choi and His Historical Perspective
한국문학논총 |
56 |
2010 |
한국어와문학
최인훈 <춘향뎐>의 패러디 담론과 역사 인식
Parodied Discourse of by In-hoon Choi and His Historical Perspective
한국문학논총 |
|
56 |
2010 |
한국어와문학
그림책의 은유와 환상성 연구
Metaphor and Fantasy in Picture Books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5 |
1 |
2011 |
한국어와문학
김종삼 시의 형식과 음악적 공간 연구
A Study on the Form and Musical Space of Kim Jong-sam's poems
어문론총 |
53 |
2010 |
한국어와문학
김종삼 시의 형식과 음악적 공간 연구
A Study on the Form and Musical Space of Kim Jong-sam's poems
어문론총 |
|
53 |
2010 |
한국어와문학
몽골 영웅서사시에 나타나는 괴물의 형상과 의미 연구
Shape and Significance of "Mangas"(Мангас, Monster) in Mongolian Epic
몽골학 |
31 |
2011 |
기타동양어문학
『삼국유사』에 재현된 여성의 양성성에 대한 현대적 문화 담론 연구 ― <기이편>에 등장하는 여성을 중심으로 ―
A Study about the Modern Cultural Discourse of Female Androgyny in SamgukYusa ― Focusing on Females in the Strange Stories―
인간연구 |
20 |
2011 |
철학
시적 주체의 소외와 불안의 증상
The Symptom of Anxiety on Alienated Poetic Narrator
인문과학연구 |
31 |
2011 |
기타인문학
<죽은 시간들(Les Temps Morts), 르네 랄루(René Laloux) 작, 1964>의 환상성
The 'Fantastic' in the René Laloux's movie
만화애니메이션연구 |
27 |
2012 |
예술일반
고전소설 연구의 대중화 방안 - 디지털 매체와의 상관성을 중심으로 -
The Measure of Popularization in Studying the Classic Novels - centrally on relations with digital media -
어문학 |
115 |
2012 |
한국어와문학
소외, 혹은 환상문학의 가능성─김승옥의 「역사」와 이청준의 「무서운 토요일」을 중심으로
Alienation, or Possibility of the Fantastic Literature-On Kim, seung-ok's 「A Strong Man」and Lee, Cheong-jun's 「The Terrible Saturday」
상허학보 |
34 |
2012 |
한국어와문학
김동리 문학의 原체험 - 「늪」의 환상성에 대한 정신분석
A Study on Primitive Experience of Kim Dong-Lee Literature - A Psychological Analysis of Phantasy in Swamp -
인문과학연구 |
27 |
2010 |
기타인문학
김동리 문학의 原체험 - 「늪」의 환상성에 대한 정신분석
A Study on Primitive Experience of Kim Dong-Lee Literature - A Psychological Analysis of Phantasy in Swamp -
인문과학연구 |
|
27 |
2010 |
기타인문학
누미노제 발라드의 유형과 성격 분석 -독일 발라드의 범례를 중심으로-
Typen numinoser Balladen sowie die Analyse ihrer Charaktere -am Beispiel der deutschen Ballade-
독어교육 |
49 |
49 |
2010 |
독일어와문학
누미노제 발라드의 유형과 성격 분석 -독일 발라드의 범례를 중심으로-
Typen numinoser Balladen sowie die Analyse ihrer Charaktere -am Beispiel der deutschen Ballade-
독어교육 |
49 |
49 |
2010 |
독일어와문학
마술환등 영상의 환상성과 계몽성 - 근대 영상기구 마술환등의 과학기술적 발전과 영상문화의 변화
Illusionism and Enlightment of the Magic Lantern Images - On the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Development of the pre-modern optical instrument, Magic Lantern and the Transition of Its Images
영상문화 |
17 |
2011 |
학제간연구
초현실주의 시의 환상성 - 벵자맹 페레의 작품을 중심으로
Le fantastique dans la poésie surréaliste - à partir des poèmes de Benjamin Péret
불어불문학연구 |
87 |
2011 |
프랑스어와문학
대하소설의 환상성의 특징과 의미
Features and Meanings of Fantasy in River-Novels
고전문학과 교육 |
20 |
2010 |
인문학
대하소설의 환상성의 특징과 의미
Features and Meanings of Fantasy in River-Novels
고전문학과 교육 |
|
20 |
2010 |
인문학
팀 버튼의 환상성 연구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를 중심으로
A Study of Fantasy in the Work of Tim Burton Focused on Alice in Wonderland
애니메이션연구 |
6 |
3 |
2010 |
영화
팀 버튼의 환상성 연구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를 중심으로
A Study of Fantasy in the Work of Tim Burton Focused on Alice in Wonderland
애니메이션연구 |
6 |
3 |
2010 |
영화
전기소설에 나타난 환상적 경계공간의 양상과 의미
A study on the Cheongil novels in fantastic borderline space aspects and meanings
동방학 |
19 |
2010 |
기타인문학
전기소설에 나타난 환상적 경계공간의 양상과 의미
A study on the Cheongil novels in fantastic borderline space aspects and meanings
동방학 |
|
19 |
2010 |
기타인문학
전봉건 시에 나타나는 환상성의 특징 연구
한국언어문화 |
43 |
2010 |
한국어와문학
전봉건 시에 나타나는 환상성의 특징 연구
한국언어문화 |
|
43 |
2010 |
한국어와문학
고전소설의 환상적 수사와 미감
The Fantastic Rhetoric and Esthetic Sense of Classic Novels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
57 |
2010 |
한국어와문학
고전소설의 환상적 수사와 미감
The Fantastic Rhetoric and Esthetic Sense of Classic Novels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
|
57 |
2010 |
한국어와문학
고티에의『제따뚜라 Jettatura』: 새로운 환상소설의 시도
Jettatura de Théophile Gautier : essai pour un nouveau récit fantastique
불어불문학연구 |
84 |
2010 |
프랑스어와문학
고티에의『제따뚜라 Jettatura』: 새로운 환상소설의 시도
Jettatura de Théophile Gautier : essai pour un nouveau récit fantastique
불어불문학연구 |
|
84 |
2010 |
프랑스어와문학
이제하 초기소설의 현실묘사 방법과 그 의미
The Descriptions of Reality in the Early Novels by Lee Je Ha and Their Meaning
인문과학연구논총 |
33 |
2012 |
기타인문학
환상성의 독자반응 연구 - 후안 몬딸보와 루벤 다리오 작품에 나타난 ‘공포(miedo)’와 ‘망설임(vacilación)’을 중심으로 -
Estudio sobre la reacción del lector en la literatura fantástica - En torno al 'miedo' y a la 'vacilación' en las obras de Juan Montalvo y Rubén Darío -
중남미연구 |
29 |
2 |
2011 |
지역학
애니메이션에 나타난 환상성에 관한 연구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 코렐라인을 중심으로
A Study on Fantasy in Animation -focusing on Spirited Away and Coraline
기초조형학연구 |
12 |
2 |
2011 |
예술일반
백석 시의 환상성 연구
A Study on Fantasy of Baek-Suk's Poems
한국시학연구 |
34 |
2012 |
한국어와문학
사이버 매체와 현대의 대중 서사- 매체의 변화와 타자성의 탈 주변화 과정
Cyber Media and Modern Popular Narratives-changes in media and process of non-peripherality of being the others
한국문화연구 |
18 |
2010 |
기타인문학
사이버 매체와 현대의 대중 서사- 매체의 변화와 타자성의 탈 주변화 과정
Cyber Media and Modern Popular Narratives-changes in media and process of non-peripherality of being the others
한국문화연구 |
18 |
|
2010 |
기타인문학
수용미학 관점으로 본 「만복사저포기」의 환상성
A study on fantasy focused aesthetics of reception 「Manboksajeopogi」
온지논총 |
30 |
2012 |
기타인문학
김영하 소설에 나타난 환상성 -<흡혈귀>와 <고압선>을 중심으로-
Fantasy Depicted by Yeong-Ha Kim’s Novels -The “Vampire” and the “High-tension Wire”-
현대소설연구 |
44 |
2010 |
한국어와문학
김영하 소설에 나타난 환상성 -<흡혈귀>와 <고압선>을 중심으로-
Fantasy Depicted by Yeong-Ha Kim’s Novels -The “Vampire” and the “High-tension Wire”-
현대소설연구 |
|
44 |
2010 |
한국어와문학
스톱모션 애니메이션의 컬러를 통해 드러난 환상성 연구
A Study on Fantasy in Stop Motion Animation through Color - focusing on Henry Selick's works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연구 |
38 |
2012 |
정보디자인
환상소설을 통한 서사 확장의 가능성 -복거일, 박민규를 중심으로-
The expansion of narrative to include fantasy novels - Focusing on the novel written by Bok Goe-Il & Park Min-Gyu -
우리문학연구 |
34 |
2011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