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교수 지식

연구분야 : B120300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수이론/교육방법/교수법

클래스 :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39196

한자 : 內容敎授知識
영어 :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r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se (우선어)

 

c01-04 능력/힘/에너지 능력/힘/에너지

교수 내용 지식 [ 敎授內容知識 ]

중등 영어 교원 임용고사 1차문항 분석: 2012학년도 문항을 중심으로

An Analysis Study on the Examination for Employing Secondary School English Teachers

중등영어교육 | 5 | 2 | 2012 | 영어교육학

초임교사의 사회과 수업에서 나타나는 수업 전문성의 변화와 한계를 고려한 컨설팅의 방향

Changes and Limitations of Specialty for Social Studies Instruction of Beginning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 and the Ideal of Consulting

사회과교육 | 51 | 1 | 2012 | 교육학

테크놀로지 내용교수지식(TPACK) 역량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 분석

A Survey on the Differences of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 of the Technology, Pedagogy, and Content Knowledge (TPACK)

한국교원교육연구 | 28 | 4 | 2011 | 교육학

중등교사임용시험 공업계열 교과교육학 문항분석

An Analysis of Industrial Education Discipline Items in the Examination for Appointing Secondary School Teachers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36 | 2 | 2011 | 실업교육학

반성적 교사: 미술교사 전문성 개발을 위한 방안 모색

Reflective Teachers: A Study on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Art Teachers

미술교육논총 | 24 | 1 | 2010 | 미술

반성적 교사: 미술교사 전문성 개발을 위한 방안 모색

Reflective Teachers: A Study on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Art Teachers

미술교육논총 | 24 | 1 | 2010 | 미술

반성적 교사: 미술교사 전문성 개발을 위한 방안 모색

Reflective Teachers: A Study on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Art Teachers

미술교육논총 | 24 | 1 | 2010 | 미술

반성적 교사: 미술교사 전문성 개발을 위한 방안 모색

Reflective Teachers: A Study on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Art Teachers

미술교육논총 | 24 | 1 | 2010 | 미술

예비수학교사의 신념에 따른 교수학적 내용지식(PCK)과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and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Beliefs

교과교육학연구 | 15 | 4 | 2011 | 교과교육학

반성적 마이크로티칭에 나타난 예비 체육교사의 실천적 지식 내용과 수준 분석

Understanding The Pre-service PE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through Reflective Micro-teaching

체육과학연구 | 21 | 4 | 2010 | 체육

반성적 마이크로티칭에 나타난 예비 체육교사의 실천적 지식 내용과 수준 분석

Understanding The Pre-service PE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through Reflective Micro-teaching

체육과학연구 | 21 | 4 | 2010 | 체육

예비체육교사의 내용 교수 지식(체육과 PCK) 발달을 위한 배구 수업 설계 및 실행 연구

Research on Instructional Design and Practice for Developing of Pre-service Teachers'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PCK of P.E.) in Volleyball Lesson

한국체육학회지 | 50 | 1 | 2011 | 체육

예비 수학 교사 교육에서 시각적 자료를 이용한 문제 해결 지도 사례

A Classroom Activities of the Problem Solving Using Visualized Materials In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Education

학교수학 | 12 | 4 | 2010 | 수학교육학

예비 수학 교사 교육에서 시각적 자료를 이용한 문제 해결 지도 사례

A Classroom Activities of the Problem Solving Using Visualized Materials In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Education

학교수학 | 12 | 4 | 2010 | 수학교육학

국어과 내용교수지식에 대한 연구 -‘편지 쓰기’의 초등 국어 수업을 위한 국어과 내용교수지식 개발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the Korean Education

국어교육학연구 | 39 | 2010 | 한국어와문학

국어과 내용교수지식에 대한 연구 -‘편지 쓰기’의 초등 국어 수업을 위한 국어과 내용교수지식 개발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the Korean Education

국어교육학연구 | | 39 | 2010 | 한국어와문학

중등 미술교사의 내용교수지식(PCK) 신장을 위한 반성적 사고도구 개발

Study on Reflective Thinking Tools for the Development of Secondary Art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미술교육논총 | 25 | 1 | 2011 | 미술

PCK의 측면에서 본 초등 국어교과서 어휘 교육 내용의 활동 구성 검토

Review for Construction of Vocabulary Educative Contents in Elementary Korean Textbook the perspective of PCK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12 | 3 | 2012 | 교과교육학

체육교육 T-멘토링 프로젝트 참여자의 경험과 변화

The Experiences and Changes of the Participants ina Physical Education T-Mentoring Project

한국초등체육학회지 | 17 | 1 | 2011 | 체육

중등 미술교사의 내용교수지식(PCK) 신장을 위한 반성적 사고도구 개발

Study on Reflective Thinking Tools for the Development of Secondary Art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미술교육논총 | 25 | 1 | 2011 | 미술

과학교사의 전문성에 대한 예비 과학교사의 인식과 배경

Pre-service Science Teachers’ Perception of Science Teachers’ Professionalism and the Background

교육문화연구 | 18 | 2 | 2012 | 기타교육학

특수교사의 교과교육 전문성 향상을 위한 내용교수지식 계발 탐색

Preliminary Study of Developing a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 50 | 1 | 2011 | 기타사회과학

예비교사를 위한 체육교과 수업 컨설팅 사례연구

Changes in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Preservice Teachers through Physical Education Consulting

한국체육교육학회지 | 16 | 1 | 2011 | 체육교육학

In-service English Teacher Training Program Evaluation

영어교육 | 65 | 3 | 2010 | 영어와문학

In-service English Teacher Training Program Evaluation

영어교육 | 65 | 3 | 2010 | 영어와문학

좋은 수업을 하는 통합학급 교사의 내용교수지식(PCK)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Three Inclusive-Class Teachers with a Reputation of Good Teaching

통합교육연구 | 6 | 1 | 2011 | 특수교육

시각장애학교 교육실습 과정을 통해 나타난 예비 특수교사들의 PCK 분석

PCK Analysis of Pre-special Teacher indicated through Practical Teaching Process at the Visual Impairment School

시각장애연구 | 28 | 2 | 2012 | 특수교육

테크놀로지 내용교수지식(TPACK) 역량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 분석

A Survey on the Differences of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 of the Technology, Pedagogy, and Content Knowledge (TPACK)

한국교원교육연구 | 28 | 4 | 2011 | 교육학

중학교 과학영재 담당교사의 PCK 요소의 특징과 관련성

Characteristics and Relationships of Teachers’ PCK Components in charge of Science Gifted Middle School Students

영재교육연구 | 21 | 4 | 2011 | 교육학

국어과 수업 전문성 신장을 위한 초등교사 연수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연구

The research of Developing an Elementary School Teacher Training Program for Enhancing Korean Teaching Professionalism

한국초등국어교육 | 44 | 2010 | 국어교육

국어과 수업 전문성 신장을 위한 초등교사 연수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연구

The research of Developing an Elementary School Teacher Training Program for Enhancing Korean Teaching Professionalism

한국초등국어교육 | | 44 | 2010 | 국어교육

초등교사들의 과학실험수업 유형 선택 및 실행에 영향을 미친 PCK분석

Analysis of Elementary Science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fluencing Their Implementation in Science Experiment Class Types

교원교육 | 26 | 6 | 2010 | 교육학

초등교사들의 과학실험수업 유형 선택 및 실행에 영향을 미친 PCK분석

Analysis of Elementary Science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fluencing Their Implementation in Science Experiment Class Types

교원교육 | 26 | 6 | 2010 | 교육학

도덕 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교사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Moral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for Increasing Specialty of Moral Teacher

윤리연구 | 1 | 84 | 2012 | 학제간연구

자진모리장단에 대한 초등교사의 PCK 연구

A Study of PCK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on Jajinmorijungton (자진모리장단)

음악교육연구 | 39 | 2010 | 음악학

자진모리장단에 대한 초등교사의 PCK 연구

A Study of PCK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on Jajinmorijungton (자진모리장단)

음악교육연구 | 39 | | 2010 | 음악학

미분 단원에서 교사에게 필요한 수학적 지식에 관한 연구

Mathematical Knowledge for Teaching (MKT) in Differentiation at the High School Level

교과교육학연구 | 15 | 2 | 2011 | 교과교육학

국어과 수업 전문성 신장을 위한 초등교사 연수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연구

The research of Developing an Elementary School Teacher Training Program for Enhancing Korean Teaching Professionalism

한국초등국어교육 | 44 | 2010 | 국어교육

국어과 수업 전문성 신장을 위한 초등교사 연수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연구

The research of Developing an Elementary School Teacher Training Program for Enhancing Korean Teaching Professionalism

한국초등국어교육 | | 44 | 2010 | 국어교육

소수 나눗셈에 대한 교사의 PCK와 실제 수업의 분석

An Analysis of the PCK of Teachers and Their Educational Practice about Division of Decimals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15 | 3 | 2011 | 교육학

사회과 교사교육 상호보완 프로그램의 구체화

A Study on the Integration of Three Teacher Education Programs in Social Studies

사회과교육연구 | 17 | 2 | 2010 | 사회교육학

사회과 교사교육 상호보완 프로그램의 구체화

A Study on the Integration of Three Teacher Education Programs in Social Studies

사회과교육연구 | 17 | 2 | 2010 | 사회교육학

사회과 수업 전문성 담론의 이론과 실천의 정합성

The Coherence between Theory and Practice on Teaching Expertise Dialogue in Social Studies

사회과교육연구 | 17 | 2 | 2010 | 사회교육학

사회과 수업 전문성 담론의 이론과 실천의 정합성

The Coherence between Theory and Practice on Teaching Expertise Dialogue in Social Studies

사회과교육연구 | 17 | 2 | 2010 | 사회교육학

정보교과 교수내용지식(PCK) 수준 측정 문항 개발 및 타당화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Items for the PCK Assessment about Informatics Subject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 13 | 6 | 2010 | 교육학

정보교과 교수내용지식(PCK) 수준 측정 문항 개발 및 타당화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Items for the PCK Assessment about Informatics Subject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 13 | 6 | 2010 | 교육학

초등교사들의 과학실험수업 유형 선택 및 실행에 영향을 미친 PCK분석

Analysis of Elementary Science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fluencing Their Implementation in Science Experiment Class Types

교원교육 | 26 | 6 | 2010 | 교육학

초등교사들의 과학실험수업 유형 선택 및 실행에 영향을 미친 PCK분석

Analysis of Elementary Science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fluencing Their Implementation in Science Experiment Class Types

교원교육 | 26 | 6 | 2010 | 교육학

좋은 수업을 하는 통합학급 교사의 내용교수지식(PCK)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Three Inclusive-Class Teachers with a Reputation of Good Teaching

통합교육연구 | 6 | 1 | 2011 | 특수교육

테크놀로지 내용교수지식(TPACK) 역량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 분석

A Survey on the Differences of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 of the Technology, Pedagogy, and Content Knowledge (TPACK)

한국교원교육연구 | 28 | 4 | 2011 | 교육학

중등 사회과 교사의 PCK 형성에 관한 근거이론적 분석

Grounded Theory on Secondary Social Studies Teachers' PCK Formation

중등교육연구 | 60 | 2 | 2012 | 교육학

초등 미술과 수업에 나타난 내용교수지식(PCK) 분석 연구

An Analysis on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Elementary Art Classes

교육과정평가연구 | 14 | 1 | 2011 | 교육학

도덕 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교사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Moral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for Increasing Specialty of Moral Teacher

윤리연구 | 1 | 84 | 2012 | 학제간연구

분수와 소수 관련 초등 예비 교사들의 PCK 실태 분석

Analysis of the PCK of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s it Relates to Fractions and Decimal Numbers

교과교육학연구 | 16 | 1 | 2012 | 교과교육학

교과교육에서 내러티브를 활용한 교과별 PCK(내용교수지식) 심화 모형 개발

Developing Enrichment Model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hrough Narrative in Instructional Design-focusing on social studies and science-

중등교육연구 | 59 | 3 | 2011 | 교육학

멘토링을 통한 예비화학교사들의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변화

The Change in Pre-service Chemistry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hrough Mentoring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31 | 4 | 2011 | 교육학

교수내용지식(PCK)의 특수교육에 대한 함의

Implication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PCK) for Special Education

특수아동교육연구 | 13 | 3 | 2011 | 교육학

교수 실제를 통한 초임 과학교사의 PCK 분석

An Analysis of Beginning Science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hrough the Teaching Practice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30 | 4 | 2010 | 교육학

교수 실제를 통한 초임 과학교사의 PCK 분석

An Analysis of Beginning Science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hrough the Teaching Practice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30 | 4 | 2010 | 교육학

구심력에서 원심력으로 -시대적 변화에 응답하는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 교단 기독교교육 분석-

From Centripetal Force to Centrifugal Force:Analysis of Christian Education in the Presbyterian Church of Korea

기독교교육 논총 | 27 | 2011 | 기독교교육

교육과정 재구성력 지표로서 PCK 표상 탐색- 초등 영어 교과를 중심으로 -

Investigating Representations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s Indicator of Competence for Curriculum Reconstruction - focused on Elementary English Subject -

교육연구 | 47 | 2010 | 교과교육학

교육과정 재구성력 지표로서 PCK 표상 탐색- 초등 영어 교과를 중심으로 -

Investigating Representations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s Indicator of Competence for Curriculum Reconstruction - focused on Elementary English Subject -

교육연구 | 47 | | 2010 | 교과교육학

블렌디드러닝을 활용한 아카데미식 문법토론 교수법

The Instruction of Academic Grammatical Debate utilizing to blended learning

문법 교육 | 13 | 2010 | 국어교육

블렌디드러닝을 활용한 아카데미식 문법토론 교수법

The Instruction of Academic Grammatical Debate utilizing to blended learning

문법 교육 | 13 | | 2010 | 국어교육

분수와 소수 관련 초등 예비 교사들의 PCK 실태 분석

Analysis of the PCK of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s it Relates to Fractions and Decimal Numbers

교과교육학연구 | 16 | 1 | 2012 | 교과교육학

교과 내용 지식(SMK)에 초점을 둔 수학 수업평가 기준 고찰

The Study on the Investigation of the Mathematics Teaching Evaluation Standards Focused on SMK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13 | 1 | 2010 | 교육학

교과 내용 지식(SMK)에 초점을 둔 수학 수업평가 기준 고찰

The Study on the Investigation of the Mathematics Teaching Evaluation Standards Focused on SMK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13 | 1 | 2010 | 교육학

여성 체육 교사의 내용교수지식(PCK) 형성과정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Narrative Inquiry in the Formation Process of a Femal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한국여성체육학회지 | 24 | 4 | 2010 | 체육

여성 체육 교사의 내용교수지식(PCK) 형성과정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Narrative Inquiry in the Formation Process of a Femal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한국여성체육학회지 | 24 | 4 | 2010 | 체육

교수내용지식(PCK)의 연구 동향에 대한 분석

An Analytical Study on Research Trends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PCK)

교육종합연구 | 9 | 3 | 2011 | 교육학

사회과 수업에서 교사의 “테크놀로지 활용 교수법적 내용지식 (TPACK)” 형성 과정에 대한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Social Studies Teacher’s Development Process of TPACK

사회과교육 | 51 | 2 | 2012 | 교육학

국어 수업에 나타난 PCK 교수 변환 사례

The case of pedagogical transformation in the Korean Language Arts based on the PCK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11 | 4 | 2011 | 교과교육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