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동 묘지

연구분야 : A020199 인문학 > 역사학 > 역사일반 > 기타역사일반

클래스 : 인위적공간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398

한자 : 共同墓地
영어 : national cemetery

e04-01 인위적공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영원(묘지) [ 靈園 ]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a04-07 건축물(시설물) 건축물(시설물)

묘지 () [ 墓地 ]

B2:전체

isComponentOf (전체-정체성유지)

 

c03-03 문화/생활 문화/생활

장묘 문화 [ 長墓文化 ]

N3:사례

hasInstance (사례)

 

 

광산 김씨 전용 영원 [ 光山金氏專用靈園 ]

hasInstance (사례)

 

 

산티아고 시립공동묘지 () [ --市立共同墓地 ]

이민과 위생 정책을 통해 본 근대도시의 형성 - 파라과이 비야리까시의 사례 -

Formation of the Modern city by Immigration and Hygiene policies - A Case of Villarrica city in Paraguay -

역사문화연구 | 37 | 2010 | 역사학

이민과 위생 정책을 통해 본 근대도시의 형성 - 파라과이 비야리까시의 사례 -

Formation of the Modern city by Immigration and Hygiene policies - A Case of Villarrica city in Paraguay -

역사문화연구 | | 37 | 2010 | 역사학

중앙아시아 고려사람의 공동묘지에 나타난 문화 정체성

The Expression of Cultural Identity in Public Cemeteries as Practiced by Koryo Saram in Central Asia

한국문화연구 | 21 | 2011 | 기타인문학

아미동 산동네의 형성과 문화변화

The Formation and Cultural Change of Ah-mi Dong Mountain Town Community

문화역사지리 | 22 | 1 | 2010 | 인문지리학

아미동 산동네의 형성과 문화변화

The Formation and Cultural Change of Ah-mi Dong Mountain Town Community

문화역사지리 | 22 | 1 | 2010 | 인문지리학

1910년대 일제의 공동묘지 정책과 조선인의 경험

The Burial law of Governor-General of Korea and Korean’s Struggle against being bare life in 1910s

역사와 문화 | 19 | 2010 | 문화사(역사학)

1910년대 일제의 공동묘지 정책과 조선인의 경험

The Burial law of Governor-General of Korea and Korean’s Struggle against being bare life in 1910s

역사와 문화 | | 19 | 2010 | 문화사(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