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 정치

연구분야 : B020100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 정치학일반

클래스 : 정치/법률제도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40037

한자 : 聯合政治
영어 : unified politics

d02-02 정치/법률제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공통속성

hasProperty (특성/속성)

 

 

내각 공동 구성

hasProperty (특성/속성)

 

a02-01 행정/공공기관 행정/공공기관

연립 정부 () [ 聯立政府 ]

B2:전체

isSpatiallyIncludedIn (공간적 전체)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내각 책임제 [ 內閣責任制 ]

1971년의 선거와 민주화운동 세력의 대응

Response of Democratic Movement Group to the elections of 1971 in South Korea.

역사비평 | 98 | 2012 | 역사학

시장경제 조정 메커니즘으로서의 한국형 사회적 합의제

South Korea-typed Social Corporatism as a Mechanism for Coordinating Market Economy

민주주의와 인권 | 11 | 2 | 2011 | 기타사회과학일반

한국사회에서 정치적 시민성의 의미

The Meaning of Political Citizenship in Korean Society

인문사회과학연구 | 27 | 2010 | 학제간연구

한국사회에서 정치적 시민성의 의미

The Meaning of Political Citizenship in Korean Society

인문사회과학연구 | | 27 | 2010 | 학제간연구

제19대 총선과 정당체제 전망: 연합 정치의 효과

The 19th General Election and the Perspective of the Party System in Korea: The Effect of Coalition Politics

의정연구 | 18 | 2 | 2012 | 정치외교학

공직선거법의 위헌성과 합헌적 해석

Unconstitutionality of the Public Official Election Act

민주법학 | 47 | 2011 | 법학

연합정치의 비교정치적 맥락과 한국적 적용

Coalition Politics and Korea: Comparative Contexts and Application to Korean Politics

역사비평 | 98 | 2012 | 역사학

2010년 한국의 지방선거와 연합정치의 쟁점

The Issues and Future Prospect of the Progressive Coalition Politics in the Korean Local Election in June 2010

동향과 전망 | 80 | 2010 | 사회과학일반

2010년 한국의 지방선거와 연합정치의 쟁점

The Issues and Future Prospect of the Progressive Coalition Politics in the Korean Local Election in June 2010

동향과 전망 | | 80 | 2010 | 사회과학일반

연합정치의 경험과 전망: 고양무지개연대 사례 연구

The Experience and Future of Coalition Politics: The Case Study of Goyang Rainbow Coalition

동향과 전망 | 80 | 2010 | 사회과학일반

연합정치의 경험과 전망: 고양무지개연대 사례 연구

The Experience and Future of Coalition Politics: The Case Study of Goyang Rainbow Coalition

동향과 전망 | | 80 | 2010 | 사회과학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