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인

연구분야 :

클래스 :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40437

한자 : 樂仁, 樂寅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se (우선어)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이강년 [ 李康䄵 ]

‘서러움’의 정치적 무의식 ― 역사적 신체로서 한하운의 자전(自傳)

Political Unconsciousness of ‘Sorrow’ ― Han Ha-un’s autobiography as a historical body

사회와역사(구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 | 94 | 2012 | 사회학

가석방의 이념과 실제

The Aim and its Practice of the Parole in the Criminal Justice

교정연구 | 56 | 2012 | 법학

사회적 스티그마의 청소년에 대한 영향과 대응

Coping Strategies for Reducing Social Stigma Associated with Youths' Thoughts, Feelings, Behavior, and Health

한국청소년연구 | 21 | 3 | 2010 | 기타사회과학

사회적 스티그마의 청소년에 대한 영향과 대응

Coping Strategies for Reducing Social Stigma Associated with Youths' Thoughts, Feelings, Behavior, and Health

한국청소년연구 | 21 | 3 | 2010 | 기타사회과학

수치심, 상담의 방해물인가, 도우미인가?

Shame, Is It a Hindrance or a Guide in Counseling?: Pastoral Theological Lessons for Pastoral Counselors

목회와상담 | 15 | 2010 | 목회상담학

수치심, 상담의 방해물인가, 도우미인가?

Shame, Is It a Hindrance or a Guide in Counseling?: Pastoral Theological Lessons for Pastoral Counselors

목회와상담 | 15 | | 2010 | 목회상담학

DSM-5 시안 및 그 비판

New Mental Disorders of DSM-5 and Its Criticisms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 20 | 2010 | 목회상담학

DSM-5 시안 및 그 비판

New Mental Disorders of DSM-5 and Its Criticisms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 20 | | 2010 | 목회상담학

원자력 발전소와 방폐장 낙인의 심리적 모형: 신뢰와 감정, 지식을 중심으로

Psychological model of stigma on nuclear power plants and radioactive waste repositories: Focusing on trust, affect, and knowledge

한국심리학회지:일반 | 30 | 3 | 2011 | 심리과학

申在孝 판소리 사설에 나타난 物慾의 表出 樣相과 그 意味

Expression and the meanings of Shin Jaehyo's earthly desire shown in the pansori texts

어문연구(語文硏究) | 40 | 3 | 2012 | 한국어와문학

정신장애인의 사회통합에 대한 고찰

Study on Social Integration of Persons with Mental Illness

한국사회 | 11 | 1 | 2010 | 사회변동/발전사회학

정신장애인의 사회통합에 대한 고찰

Study on Social Integration of Persons with Mental Illness

한국사회 | 11 | 1 | 2010 | 사회변동/발전사회학

장애인의 지각된 낙인과 우울 - 충북지역 거주 재가 장애인을 중심으로 -

The Impact of Perceived Social Stigma on Depression among People with Disabilities Living in Choongbuk

한국지역사회복지학 | 37 | 2011 | 사회복지학일반

정신장애인들의 진정한 사회 복귀는 가능한가?: 사회적 거리감 영향 요인 연구

Is it possible that people with mental disorders are reintegrated into our communities?: the Effect of Social Distance

한국심리학회지:일반 | 29 | 1 | 2010 | 심리과학

정신장애인들의 진정한 사회 복귀는 가능한가?: 사회적 거리감 영향 요인 연구

Is it possible that people with mental disorders are reintegrated into our communities?: the Effect of Social Distance

한국심리학회지:일반 | 29 | 1 | 2010 | 심리과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