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三千里』의 서사와 텍스트 정치―설문과 순례의 서사들
The Nationless Politics of Text and The Narratives in Samchunli: Survey and Pilgrimage
대동문화연구 |
71 |
2010 |
기타인문학
『三千里』의 서사와 텍스트 정치―설문과 순례의 서사들
The Nationless Politics of Text and The Narratives in Samchunli: Survey and Pilgrimage
대동문화연구 |
|
71 |
2010 |
기타인문학
삼천리의 세(世)와 계(界) -설문과 순례의 서사들
The sub-society and world in Samcholi
민족문학사연구 |
42 |
2010 |
한국어와문학
삼천리의 세(世)와 계(界) -설문과 순례의 서사들
The sub-society and world in Samcholi
민족문학사연구 |
|
42 |
2010 |
한국어와문학
근대 초기 회의 규범의 수용과정(1)- 『의회통용규칙』을 중심으로
The Process of Accepting Meeting Norms in the Early Modern Period (1) — Concentrated on General Rules for the Assembly
한국문학논총 |
59 |
2011 |
한국어와문학
근대 초기 회의 규범의 수용과정(1)- 『의회통용규칙』을 중심으로
The Process of Accepting Meeting Norms in the Early Modern Period (1) — Concentrated on General Rules for the Assembly
한국문학논총 |
59 |
2011 |
한국어와문학
율곡 이기론의 정치적 해석 - 경학적 세계관의 경세론적 이해-
Political interpretation on Yulgok's Ikilon(理氣論) - elucidating kyeonghaklon(經學論, jingxuelun) in the approach founded on kyeongselon(經世論, jingshilun)
율곡학연구 |
20 |
2010 |
기타인문학
栗谷 李珥의 更張論에 대하여
栗谷 李珥の更張論に対し
철학∙사상∙문화 |
11 |
2011 |
기타인문학
율곡 이기론의 정치적 해석 - 경학적 세계관의 경세론적 이해-
Political interpretation on Yulgok's Ikilon(理氣論) - elucidating kyeonghaklon(經學論, jingxuelun) in the approach founded on kyeongselon(經世論, jingshilun)
율곡학연구 |
20 |
2010 |
기타인문학
‘廢假立眞’에 대한 조선후기 사대부의 비판적 인식
Noblemen's Critical Perception of 'Pyegaipjin' in the Late Period of Joseon
역사와경계 |
83 |
2012 |
역사학
조선시대 왕의 이중적 재현 -인조대를 중심으로-
The ambivalent representation of a king in the first half of the 17th Century Chosun Dynasty
한국학연구 |
40 |
2012 |
기타인문학
栗谷의 憂患의식과 經世論의 의의
Significance of Yulgok’s Theory on Governing and Apprehension on the Nation
한국사상과 문화 |
54 |
2010 |
한국어와문학
栗谷의 憂患의식과 經世論의 의의
Significance of Yulgok’s Theory on Governing and Apprehension on the Nation
한국사상과 문화 |
|
54 |
2010 |
한국어와문학
Doing Korean History Research Outside of Korea: An Advantage of Looking from Outside?
The Review of Korean Studies |
15 |
1 |
2012 |
한국어와문학
성종대 臺諫 避嫌의 증가와 그 의미
Increase in the Remonstration officers' "Pi'hyeom" actions during King Seongjong's reign, and its Meaning
조선시대사학보 |
62 |
2012 |
역사학
조선의 18세기
Joseon Dynasty of the 18th Century
역사학보 |
213 |
2012 |
역사학
미국에서의 인터넷 상업광고에 대한 헌법적 규제
A study on the Constitutional justification in U.S.A. of the Commercial Advertisement on Internet
동북아법연구 |
6 |
1 |
2012 |
비교법학
等狀을 통해 본 조선후기 聯名呈訴와 公論 형성
The Significance of Deungjang(等狀) in Filing Joint Petition and Drawing Collective Consensus
규장각 |
36 |
2010 |
기타인문학
等狀을 통해 본 조선후기 聯名呈訴와 公論 형성
The Significance of Deungjang(等狀) in Filing Joint Petition and Drawing Collective Consensus
규장각 |
|
36 |
2010 |
기타인문학
明代 經筵制度와 政局運營의 추이 -洪武(1368∼1398)∼弘治年間(1488∼1505)을 중심으로-
明代的經筵制度和政局運營之趨勢
중국사연구 |
75 |
2011 |
동양사
明代 經筵制度와 政局運營의 추이 -洪武(1368∼1398)∼弘治年間(1488∼1505)을 중심으로-
明代的經筵制度和政局運營之趨勢
중국사연구 |
75 |
2011 |
동양사
동북아 시민사회 정립을 위한 주자학적 公論 탐색 - 하버마스의 ‘공공영역’에서 접근 -
Northeast Asian Civil Society and the Neo-Confucian Public Opinion - An Approach from the Habermas’ Public Sphere -
사회와 철학 |
19 |
2010 |
철학일반
동북아 시민사회 정립을 위한 주자학적 公論 탐색 - 하버마스의 ‘공공영역’에서 접근 -
Northeast Asian Civil Society and the Neo-Confucian Public Opinion - An Approach from the Habermas’ Public Sphere -
사회와 철학 |
|
19 |
2010 |
철학일반
조선시대 공론 연구 - 여론 유사용어와 관점, 유형과 형성주체, 그 용례를 중심으로
Chosun Dynasty's Public Opinion : Similar Concepts, Perspectives, Creating Classes, Examples
지역과 커뮤니케이션 |
14 |
1 |
2010 |
인터넷신문/방송
조선시대 공론 연구 - 여론 유사용어와 관점, 유형과 형성주체, 그 용례를 중심으로
Chosun Dynasty's Public Opinion : Similar Concepts, Perspectives, Creating Classes, Examples
지역과 커뮤니케이션 |
14 |
1 |
2010 |
인터넷신문/방송
조선초기의 공론정치 : 공론의 존재양식과 공론정치의 특수성을 중심으로
Gong-Lon Politics in early Choson: Focusing on the Existence Form of Gong-Lon and the Specificity in Gong-Lon Politics
한국정치학회보 |
44 |
4 |
2010 |
정치외교학
조선초기의 공론정치 : 공론의 존재양식과 공론정치의 특수성을 중심으로
Gong-Lon Politics in early Choson: Focusing on the Existence Form of Gong-Lon and the Specificity in Gong-Lon Politics
한국정치학회보 |
44 |
4 |
2010 |
정치외교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