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곡

연구분야 : A101200 인문학 > 문학 > 희곡

클래스 : 문학장르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4111

한자 : 戱曲
영어 : play
영어 : drama

e01-01 문학장르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공통속성

hasSubject (주제)

 

b01-02 교육활동 교육활동

희곡 교육 [ 戱曲敎育 ]

P:개념속성연관

hasPurpose (목적)

 

e01-05 공연예술 공연예술

연극 () [ 演劇 ]

N1:종류

hasKind (종류)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중국 희곡 [ 中國戱曲 ]

hasKind (종류)

 

e01-05 공연예술 공연예술

정치극 [ 政治劇 ]

hasKind (종류)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현대 희곡 () [ 現代戱曲 ]

hasKind (종류)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백화체 희곡 () [ 白話體戱曲 ]

hasKind (종류)

 

e01-05 공연예술 공연예술

설창 예술 () [ 说唱藝術 ]

hasKind (종류)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한국 희곡 [ 韓國戱曲 ]

hasKind (종류)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시극 [ 詩劇 ]

hasKind (종류)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독일 희곡 [ 獨逸戱曲 ]

hasKind (종류)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프랑스 희곡 [ --戱曲 ]

hasKind (종류)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러시아 희곡 [ --戱曲 ]

R1:개념적

hasIssue (이슈/주제)

 

a01-06-03 인간(역할) 인간(역할)

부차적 인물 [ 副次的人物 ]

RT (관련어)

 

a04-09 저작(창작)물/정보 저작(창작)물/정보

지시문 [ 指示文 ]

RT (관련어)

 

d04-01 기법/방식 기법/방식

드라마투르기 [Dramaturgie]

CLT:참조용어

CCType_ST (구분 해당용어)

 

Y02 창작물명 창작물명

아리랑 고개 ()

CCType_ST (구분 해당용어)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청바지를 입은 파우스트 [Faust On he Blue Jeans]

CCType_ST (구분 해당용어)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파우스트 () [Faust]

장르와 맥락: “소넷 94번”과 공자적 인간상의 연극적 변용

Genre and Context: “Sonnet 94” and the Dramatic Transfiguration of a Confucian Idea of Man

Shakespeare Review | 47 | 4 | 2011 | 영어와문학

미하일 바흐친의 대화이론에 대한 분석적 비평: 화용론과 기호학적 접근을 중심으로

A critical analysis of M.M. Bakhtin’s Dialogics: A pragmatic and semiotic approach

영어어문교육 | 16 | 4 | 2010 | 영어와문학

미하일 바흐친의 대화이론에 대한 분석적 비평: 화용론과 기호학적 접근을 중심으로

A critical analysis of M.M. Bakhtin’s Dialogics: A pragmatic and semiotic approach

영어어문교육 | 16 | 4 | 2010 | 영어와문학

Soviet Korean Literature and Vietnam War

한민족문화연구 | 37 | 2011 | 한국어와문학

김태흡의 대중불교론과 그 전개

Kim Tae‐heup’s Theory of Popular Buddhism and Its Development

禪學(선학) | 26 | 2010 | 응용불교학

김태흡의 대중불교론과 그 전개

Kim Tae‐heup’s Theory of Popular Buddhism and Its Development

禪學(선학) | | 26 | 2010 | 응용불교학

‘藥性歌’의 성립과 전승 양상 연구

A Study on the Formation and transmission of "Yaksungga(藥性歌)"

한국시가연구 | 30 | 2011 | 한국어와문학

한일 구비연행서사시의 희곡화(戱曲化)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for Dramatization of the Oral Epics on Korean and Japanese

비교민속학 | 48 | 2012 | 역사학

2007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국어 교과서 분석* -희곡 관련 내용을 중심으로-

Analysis of Middle School Korean Language Textbooks According to the Revised Curriculum in 2007 -Centering on the Content of Dramas-

연극교육연구 | 1 | 18 | 2011 | 연극교육

한국 희곡 연구에 나타난 해양 관련 담론 연구

Studies on 'Korean-Sea' of Korean Plays and Theaters in History

인문사회과학연구 | 12 | 2 | 2011 | 기타인문학

희곡 『여우사냥』의 뮤지컬 대본 『명성황후』로의 전환과 스토리텔링의 변화

Converting from a drama of Fox Hunting into a musical of The last empress Myungsung and changes of a storytelling

비교문학 | 51 | 2010 | 인문학

희곡 『여우사냥』의 뮤지컬 대본 『명성황후』로의 전환과 스토리텔링의 변화

Converting from a drama of Fox Hunting into a musical of The last empress Myungsung and changes of a storytelling

비교문학 | | 51 | 2010 | 인문학

“Kill Dick”: 조승희의 희곡작품 분석을 통한 그의 정신 구조와 범행 동기 연구

“Kill Dick”: A Psychoanalytic Study on Seung Hui Cho's Plays, Psychical Structure, and Murder-Motivation

현대정신분석 | 12 | 1 | 2010 | 기타인문학

“Kill Dick”: 조승희의 희곡작품 분석을 통한 그의 정신 구조와 범행 동기 연구

“Kill Dick”: A Psychoanalytic Study on Seung Hui Cho's Plays, Psychical Structure, and Murder-Motivation

현대정신분석 | 12 | 1 | 2010 | 기타인문학

1930년대 전반기 대중극단 레퍼토리의 형식 미학적 특질 연구

A study on the repertoires and the aesthetics of the format on the popular plays in the half 1930s

한국극예술연구 | 34 | 2011 | 예술체육학

『천일야화』의 세계문학적 위상과 현대아랍학에 끼친 영향

A Study on The Thousand and One Nights' Status as World Prominent Literature and Its Influence on Modern Arabic Literature

중동문제연구 | 11 | 3 | 2012 | 지역학

안똔 체홉 “벚꽃 동산”의 희극성에 대한 언어학적 고찰 - 스크립트 대립 이론과 그라이스 격률을 기반으로-

Analysis on Anton Chekhov’s comedy from a linguistic perspective

슬라브어 연구 | 16 | 2 | 2011 | 러시아어와문학

<인형의 집>의 수용과 1920년대 ‘생명’담론

Reception of A Doll's House and the 'Life' Discourse of 1920's.

한국학연구 | 42 | 2012 | 기타인문학

2011년 도입 국어 교과서에 수록된 희곡 작품에 대한 고찰 - 「봉산탈춤」 과 극문학 작품 직접 연계 관련 단원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ections and systems of drama education at ‘Korean’ textbooks in ‘2007 revised curriculum’

한어문교육 | 25 | 2011 | 국어교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