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신

연구분야 : A020200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클래스 : 인간(지위/벼슬)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436

한자 : 功臣

a01-06-02 인간(지위/벼슬)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신하 [ 臣下 ]

N1:종류

hasKind (종류)

 

a01-06-02 인간(지위/벼슬) 인간(지위/벼슬)

훈봉 공신 () [ 勳封功臣 ]

hasKind (종류)

 

a01-06-02 인간(지위/벼슬) 인간(지위/벼슬)

배향 공신 () [ 配享功臣 ]

R1:개념적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고려

a01-06-02 인간(지위/벼슬) 인간(지위/벼슬)

개국공신 (고려) [ 開國功臣 ]

RT (관련어)

 

A04 인공물 인공물

녹권 [ 錄券 ]

RT (관련어)

 

 

공신 녹권 [ 功臣錄券 ]

N3:사례

hasInstance (사례)

1392

a01-06-02 인간(지위/벼슬) 인간(지위/벼슬)

개국공신 () [ 開國功臣 ]

hasInstance (사례)

1398

a01-06-02 인간(지위/벼슬) 인간(지위/벼슬)

정사공신 [ 定社功臣 ]

고려전기 文散階의 실제 운영- 開府儀同三司와 特進을 중심으로 -

Actual Operation of Munsangye during Early Goryeo: Focusing on Gaebueuidongsamsa and Teukjin

동방학지 | 154 | 2011 | 기타인문학

조선시대 종묘의 부묘 의례와 성격

The Bu’myo ritual at the Joseon National Shrine, and its Nature

서울학연구 | 43 | 2011 | 기타인문학

불천위 추대 기준에 대한 제도적‧담론적 고찰 -안동지역 사례를 중심으로-

Institutional, discourse study on Bulchunwee's president standards ― Focusing on the Andong region cases

국학연구 | 17 | 2010 | 기타인문학

조선 초기 勳戚韓明澮의 관직 생활과 그 특징

A Case Study on a Meritorious Elite, Han Myung-hoi(韓明澮) in the Early Joseon Dynasty

역사와 실학 | 43 | 2010 | 기타역사일반

조선 초기 勳戚韓明澮의 관직 생활과 그 특징

A Case Study on a Meritorious Elite, Han Myung-hoi(韓明澮) in the Early Joseon Dynasty

역사와 실학 | | 43 | 2010 | 기타역사일반

朝鮮中期『錄勳都監儀軌』와功臣畵像에관한硏究

The Nokhundogam Uigwe and Portraits of Meritorious Subjects in the Mid-Joseon Period

미술사학연구 | 266 | 266 | 2010 | 미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