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업 급여

연구분야 : B091000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산업/노동복지

클래스 : 기타 인스턴스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46539

한자 : 失業給與

Y99 기타 인스턴스명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구직 급여

R2:기능적

applies (적용 방법/이론)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해고 [ 解雇 ]

applies (적용 방법/이론)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폐업 [ 廢業 ]

isAppliedTo (적용 대상)

 

y05-01 법률/법령 법률/법령

고용 보험법 [ 雇用 保險法 ]

CLT:참조용어

isPropertyOf (특성의 대상)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고용 보장 [ 雇傭保障 ]

고령자 고용촉진을 위한 사회보험제도의 근로유인 효과 제고방안

An Analysis of Work Incentive Effects of the Social Insurance Systems for promoting the employment of the aged

노동법논총 | 19 | 2010 | 노동법

고령자 고용촉진을 위한 사회보험제도의 근로유인 효과 제고방안

An Analysis of Work Incentive Effects of the Social Insurance Systems for promoting the employment of the aged

노동법논총 | 19 | | 2010 | 노동법

유럽의 청년실업정책: 주요 5개국을 중심으로

Youth Unemployment Policy in 5 european countries : Belgium, Denmark, Germany, United Kingdom, and France

유럽연구 | 29 | 3 | 2011 | 지역학

헌법상 근로권의 실질화를 위한전제와 대안의 모색 - 고용 없는 성장의 현실 인식과 그에 대한 대안 모색을 중심으로 -

The Premise of Realizing the Right to Labour & Search for Alternatives - Mainly on the recognition of jobless growth reality and searching for its alternatives -

법학논집 | 14 | 4 | 2010 | 기타법학

헌법상 근로권의 실질화를 위한전제와 대안의 모색 - 고용 없는 성장의 현실 인식과 그에 대한 대안 모색을 중심으로 -

The Premise of Realizing the Right to Labour & Search for Alternatives - Mainly on the recognition of jobless growth reality and searching for its alternatives -

법학논집 | 14 | 4 | 2010 | 기타법학

이직사유별 일자리 이행경로 및 결정요인 분석

Job Transition Process by Reasons of Job Separation and Its Determining Factors

노동경제논집 | 33 | 2 | 2010 | 경제학

이직사유별 일자리 이행경로 및 결정요인 분석

Job Transition Process by Reasons of Job Separation and Its Determining Factors

노동경제논집 | 33 | 2 | 2010 | 경제학

OECD 주요국 실업급여제도의 유형별 비교

한국사회학 | 45 | 1 | 2011 | 사회학

고용보험 전달체계 개선방안 -실업급여 수급자에 대한 서비스를 중심으로-

Reforming Employment Insurance Delivery System -Focusing on Services for Unemployment Benefit Recipients-

사회보장연구 | 26 | 3 | 2010 | 사회복지학

고용보험 전달체계 개선방안 -실업급여 수급자에 대한 서비스를 중심으로-

Reforming Employment Insurance Delivery System -Focusing on Services for Unemployment Benefit Recipients-

사회보장연구 | 26 | 3 | 2010 | 사회복지학

현행 실업급여 제도에 대한 재검토

Reassessment of Unemployment Benefit System

원광법학 | 28 | 1 | 2012 | 기타법학

한국과 미국의 연장실업급여제도 비교를 통해 본 우리나라 특별연장급여제도의 개편 방향

A Comparative Analysis of Extended Unemployment Benefits between Korea and the USA and Its Policy Implications

한국사회정책 | 18 | 1 | 2011 | 의료/복지/사회정책

조기재취업수당의 제도 변화에 따른 효과분석 -2006년의 제도 변화가 실업기간에 미치는 효과를 중심으로-

The Impact of the Policy Change in Reemployment Bonuses in 2006 on Insured Unemployment

사회보장연구 | 27 | 1 | 2011 | 사회복지학

한국의 재취업보너스제도 연구: 미국과 일본의 제도 비교로부터 얻는 시사점

Reemployment bonuses in Korea: Policy implications from reemployment bonus experiments of the USA and Japan's reemployment bonuses

한국사회정책 | 18 | 2 | 2011 | 의료/복지/사회정책

한국의 실업급여 관대성:국제비교와 정책적 시사점

The Generosity of Unemployment Benefits in Korea : Comparative Analysis and Policy Implications

노동정책연구 | 10 | 1 | 2010 | 사회과학일반

한국의 실업급여 관대성:국제비교와 정책적 시사점

The Generosity of Unemployment Benefits in Korea : Comparative Analysis and Policy Implications

노동정책연구 | 10 | 1 | 2010 | 사회과학일반

실업급여 지급기간 변화의 효과 분석

The Effect of the Extended Benefit Duration on the Aggregate Labor Market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32 | 1 | 2010 | 경제학

실업급여 지급기간 변화의 효과 분석

The Effect of the Extended Benefit Duration on the Aggregate Labor Market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32 | 1 | 2010 | 경제학

실업급여 수급자 유형분류체계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A Exploratory Study of Developing a Job Seeker Classification System in Korea

사회보장연구 | 28 | 2 | 2012 | 사회복지학

구조적 모형을 이용한 실업급여제도의 효과 분석

Effects of Unemployment Insurance : Analysis Using A Structural Model

응용경제 | 12 | 1 | 2010 | 경제학

구조적 모형을 이용한 실업급여제도의 효과 분석

Effects of Unemployment Insurance : Analysis Using A Structural Model

응용경제 | 12 | 1 | 2010 | 경제학

실업급여가 고용성과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Unemployment Benefit on Employment Performance

사회보장연구 | 26 | 2 | 2010 | 사회복지학

실업급여가 고용성과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Unemployment Benefit on Employment Performance

사회보장연구 | 26 | 2 | 2010 | 사회복지학